[2012결산]게임업계 무슨일이…내실-확장-새출발

일반입력 :2012/12/26 10:25    수정: 2012/12/26 15:23

올해 게임업계는 구조조정과 지분 변화, 모바일 게임 사업 확장 등이 최대 이슈였다. 이 모든 것은 새 성장 동력을 찾기에 앞선 내실 다지기였다. 대형 게임사를 중심으로 일부 게임사는 인력을 정리하고 부실 자금 등을 털어내면서 내년 시장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올해는 모바일 게임 사업에 강한 드라이브를 건 원년의 해였다는 평가다. 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를 시작으로 액토즈소프트, 웹젠, 드래곤플라이 등 중견게임사는 모바일 게임 사업에 대한 의지를 밝히고 청사진을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게임업계를 대표하는 전문경영인의 이동도 빼놓을 수 없는 이슈였다. ‘미다스의 손’이라 불리는 다수의 인물은 자신의 꿈을 키워가기 위해 새 둥지를 차렸다.

■빅5 게임사, 내실 집중...“다음을 위해”

우선 올해 가장 큰 충격적인 소식은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가 자신의 지분 약 절반을 넥슨 측에 넘겼다는 사실이었다. 대부분의 언론사와 업계 관계자는 국내서 1~2위를 다툰 게임사가 피를 섞었다고 보면서 그 배경에 귀추를 주목했다.

지난 6월 넥슨 일본법인은 엔씨소프트 설립자 김택진 대표로부터 엔씨소프트 주식 321만8천91주를 주당 25만원에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는 엔씨소프트 지분 약 14.7%에 해당하는 규모로 금액은 약 8천45억 원이다

이후 엔씨소프트는 조직개편과 희망 퇴직 등도 진행했다. 대형 게임 프로젝트는 살아남지만 일부 캐주얼 게임 개발 및 서비스는 중단되고 모바일 등 신사업에 대한 재검토에 나선 것이 주요 골자였다. 희망 퇴직 규모는 약 400명으로 업계 최고의 위로금을 지원해 화제가 된 바 있다.

지난 11월 ‘2012 대한민국 게임대상’에 참여한 김택진 대표는 “김정주 NXC 회장 제안으로 양사가 힘을 합쳐 우리나라 게임 산업 발전의 분기점이 될 수 있는 좋은 M&A를 추진하려고 했었다”면서 “당시만 해도 8월 정도면 발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추진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아 현재까지 밝힐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또 그는 “외산 게임이 국내 게임업계를 휩쓸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게임사들이 힘을 모아 멋진 일을 해볼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은 현재도 유효하고, 좋은 결과를 내도록 넥슨과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네오위즈게임즈는 수많은 악재를 견딘 게임사로 꼽힌다. 피파온라인2 서비스 종료 예고, 크로스파이어 중국 서비스 재계약을 둘러싼 개발사 스마일게이트와의 마찰 등이 대표적이다. 이런 가운데 이 회사는 네오위즈인터넷과의 합병을 준비하다 불발로 끝나기도 했다.

EA는 네오위즈게임즈의 지분 정리에 나섰을 정도. 네오위즈의 성장성 부재에 따른 매각 아니냐는 시각도 있지만 피파온라인2 서비스 종료를 앞둔 관계 정리라고 복수의 전문가는 분석했다.

EA는 최근 장내매도를 통해 네오위즈게임즈의 지분 4.73%와 지주사 네오위즈의 지분 4.99%를 매도했다. EA의 지분율은 각각 9.23%, 7.58%로 낮아졌지만, 2대주주 자리는 유지 중이다.

이외에도 CJ E&M 넷마블 등의 게임사도 소규모 조직개편을 단행하는 방식으로 내실을 다지고 국내외 시장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여러 대책을 마련했다고 알려졌다.

한 업계 고위 관계자는 “김택진 대표가 회사 지분 절반 정도를 넥슨 일본법인에 넘겼다는 것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라며 “(김 대표가)지분 매각 이유를 밝히기는 했지만 실체는 드러나지 않았다는 점이 아쉬웠다”라고 했다.

이어 “게임업계는 어느 때 보다 내실을 강화하는데 집중한 해였다”면서 “대부분의 게임사는 새해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해 비용 절감 등 고민을 많이 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모바일 게임 사업 확장

온라인 게임 사업을 주로 해왔던 중견 게임사는 올해 모바일 게임 사업 확장이 최대 화두였다. 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를 중심으로 액토즈소프트, 와이디온라인, 라이브플렉스 등의 게임사는 이미 일부 설과를 얻었다.

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는 모바일 게임 사업 의지와 더불어 선견지명을 가진 게임사란 평가를 받았다. 위메이드는 카카오가 뜨기 전에 해당 회사의 지분 5.8%를 250억 원에 확보했기 때문. 이 회사는 카카오의 카카오톡 게임 사업 확장의 최대 수혜자로 꼽힌다.

특히 위메이드의 모바일 사업 확장은 타 게임사와 비교해 공격적이었다. 이 회사는 모바일 자회사 위메이드크리에이티브의 인력을 대폭 늘리고 엔곤소프트, 피버스튜디오, 리니웍스, 링크투모로우를 차례로 인수해 주목을 받았다. 위메이드의 모바일 사업 인력만 약 800여명에 육박한다고 전해졌다.

위메이드는 바이킹아일랜드, 카오스&디펜스, 캔디팡 등 여러 히트작으로 모바일 게임 사업에도 일부 성과를 얻었다. 바이킹 아일랜드는 3D 그래픽과 게임 내 커뮤니티 기능을 강화한 SNG 장르로 카카오톡의 효과를 톡톡히 봤다.

액토즈소프트의 모바일 사업 확장도 눈에 띄었다. 이 회사는 모회사 샨다 그룹의 모바일 게임 사업을 진두지휘하는 헤드쿼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는 액토즈소프트, 중국은 액토즈소프트의 자회사 메이유가 모바일 게임 사업을 진두지휘하는 방식이다.

액토즈소프트는 일본 게임사 스퀘어에닉스사가 개발한 모바일 게임 확장성 밀리어아서를 출시, 앱스토어에서 출시 하루 만에 매출 1위를 기록해 주목을 받았다. 이 회사는 새해 1월 SNG 폴링폴링을 출시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라비티도 모바일 자회사 네오싸이언의 역량을 강화했다. ‘라그나로크 온라인’ ‘드래곤사가’ 등 자체 IP를 활용한 모바일 게임 외에도 ‘퍼즐앤드래곤’ 등을 내놔 좋은 반응을 얻었다.

여기에 와이디온라인, 라이브플렉스 등도 모바일 게임 사업 확장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와이디온라인은 첫 모바일 퍼블리싱 작품 라쿤슬라이스를 내놨으며, 라이브플렉스는 대항해mini 등 다수의 작품을 출시해 주목을 받았다. 이외에도 웹젠, 드래곤플라이 등의 게임사도 모바일 게임 사업 확장을 알렸다.

■사령탑 바뀌거나 새 둥지를 차리거나...

전문경영인의 위치 이동도 빼놓을 수 없다. NHN한게임, 와이디온라인 등의 게임사의 사령탑도 바뀌었고 소프트빅뱅, 넵튠 등의 신생 게임사도 탄생했다. 또 위메이드에는 다수의 전문경영인이 합류했다.

지난 1월 와이디온라인의 사령탑이 교체됐다. 신상철 대표가 그 주인공이다. 신 대표는 NHN 한국법인에서 글로벌 게임제작실장, 게임부문 개발이사를 거쳐 NHN 일본법인의 퍼블리싱사업부장까지 역임하며 한게임의 성장 기틀을 마련한 주역으로 평가받은 인물이다.

NHN한게임의 수장으로는 이은상 아이덴티티게임즈 전 대표가 선임됐다. 지난 5월 NHN한게임의 새 사령탑에 앉은 이 대표는 아이덴티티게임즈 설립자로 드래곤네스트를 성공시킨 일등 공신이다. 그는 NHN 온라인게임사업도 총괄한다.

위메이드에는 올해 남궁훈, 김창근, 조계현 등 전문경영인이 대거 합류해 주목을 받았다. 남궁훈 대표는 지난 3월 위메이드 공동 대표로 합류했다. 김창근 웹젠 전 대표와 조계현 네오위즈게임즈 전 부사장은 각각 조이맥스와 위메이드크리에이티브의 신임 대표로 곧 선임될 예정이다.

남 대표는 2000년대 초반 NHN엔터테인먼트 사업부장에 이어 2006년 NHN 게임 총괄과 2007년 NHN USA대표직을 맡은 인물이다. 또 그는 2009년 12월부터 2011년 6월까지 CJ E&M 넷마블 대표직을 맡았다.

NHN 한게임 사업부장을 맡았던 김 전 대표는 지난 2006년 NHN 퍼블리싱사업그룹장을 거쳐, 2009년부터 2012년 6월까지 웹젠 공동 대표직을 맡은 바 있다.

관련기사

액토즈소프트 출신 전문경영인인 노상준 전 부사장과 사업부문의 ‘미다스의 손’으로 평가받은 이관우 전 상무는 소프트빅뱅을 공동 설립하고 사령탑에 앉았다. 이 대표는 액토즈소프트 사업총괄 당시 카르카스온라인의 리뉴얼 버전 다크블러드 온라인을 성공시키며 황금손이라 불렸다. 소프트빅뱅은 온라인 게임 개발사로 현재 AOS 코어마스터즈를 개발 중이다.

정욱 NHN한게임 전 대표대행은 모바일 게임사를 설립해 주목을 받았다. 넵튠이다. 이 회사는 정욱 대표가 주축이 되어 올 초에 설립한 모바일 게임 개발사로, 정욱 대표 외에 NHN재팬 출신 권상훈 CTO와 한게임 운영총괄을 역임했던 조한상 COO가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