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래도 스마트폰 안 사?…일반폰 값 확↑

일반입력 :2011/01/05 10:52    수정: 2011/01/06 08:41

김태정 기자

이통사와 제조사들이 일반폰 가격을 확 올리면서 이른바 ‘공짜폰’이 줄었다. 스마트폰 판매량을 늘리려는 수단인데, 일반폰 수요층의 불만이 크다.

5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과 KT는 작년 성탄절 전후로 ‘번호이동’ 고객으로부터 받는 일반 휴대폰 판매가를 많게는 10만원 정도 올렸다. 때문에 구입 가능한 공짜폰 종류가 기존 대비 절반으로 줄었다.

■작년 성탄절에 공짜폰 확 줄어

SK텔레콤은 지난해 12월22일부터 25일까지 점진적으로 일부 제품 단가를 상향 조정, 일선 대리점에 새로운 단가표를 내려 보냈다.

이에 따라 공짜폰의 대명사(?)로 불렸던 코비폴더, 매직홀, 테라피 등이 번호이동과 상관없이 일정 금액을 내야 구입 가능해졌다.KT도 상황이 비슷하다. 작년 12월24일 제품 단가를 상향 조정하면서 공짜폰이 기존 10여개에서 5개 정도로 줄었다.

현재 주름폰, 러브쉐이크, 꼬모폰 등 인기 공짜폰들이 유료로 탈바꿈 했다. 주로 청소년들이 많이 찾는 저가 제품들이다.

KT 관계자는 “이번 단가 인상은 시장 상황에 맞춰 나온 일반적인 전략”이라며 “스마트폰 고객 늘리기가 중요한 것도 이유”라고 밝혔다.

■스마트폰으로 강제 이동 노린다?

스마트폰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고수익을 창출, 업계 효자로 떠올랐다. 음성통화와 문자메시지 외에 별 다른 수익을 못내는 일반폰과 비할 바가 아니다.

이통사·제조사들은 판매 전략 초점을 스마트폰에 집중했고, 일반폰에 쏟을 여력은 줄어드는 추세다. 스마트폰을 얼마나 팔았는지가 실적 평가 척도로 자리 잡았다.

마케팅비를 매출 대비 20% 내로 줄이라는 방송통신위원회의 ‘마케팅비 가이드라인’도 스마트폰보다 일반폰에 집중 될 전망이다. 이통사들이 일반폰 가격을 올리면서 스마트폰 중심의 보조금은 거의 줄이지 않은 것이 이를 방증한다.

관련기사

결국 스마트폰 접근이 어려운 노인·어린이·장애인·소외계층 등은 기업들의 고객 배려 정책에서 멀어질 수밖에 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조윤미 녹색소비자연대 본부장은 “소비자 선택권 보호 측면에서도 스마트폰만 챙기는 마케팅은 문제다”라며 “일반폰 가격 변동 추이에 대한 조사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