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뚫고 복귀한 이재용, 경영 행보 '첩첩산중'

세계 경제 불확실성에 사법 리스크까지 불안 요인 산적

디지털경제입력 :2020/05/20 11:48    수정: 2020/05/20 15:31

중국 반도체 사업 점검을 마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음성 판정을 받아 자가격리 없이 경영에 곧바로 복귀한다.

코로나19 확산 국면에서도 출장을 강행한 이 부회장이 반도체 등 핵심사업 등이 긴박한 위기국면이라는 메시지를 대내외에 전달한 만큼 향후 어떤 경영 행보를 보일지 재계의 관심이 쏠린다. 관련해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불거진 삼성 합병의혹 수사 등 아직 마무리되지 않은 사법 리스크도 남아있어 삼성 내부에도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전날 오후 9시쯤 보건당국으로부터 코로나19 음성 판정을 확정받고 귀가했다. 다만 능동감시 대상이 되면서 2주간 매일 보건당국과 건강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지난 17일부터 중국으로 떠났던 이 부회장은 전날 귀국 이후 정부가 지정한 임시 생활시설인 김포 마리나베이 호텔로 이동해 코로나19 검사를 받았다. 이 부회장은 오후 2시가 넘은 시각부터 약 7시간 대기 끝에 음성 판정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이 부회장은 2박 3일간의 출장 동안 총 세 차례 코로나 검사를 받았다. 귀국 후 검사에 앞서 신속통로 절차를 앞두고 중국 출발 72시간 내 음성 확인서를 발급받았고, 중국 입국 이후 지방정부 지정 시설에서 격리돼 유전자 증폭(PCR) 및 항체 검사를 받았다.

이 부회장은 음성 판정에 따라 한국과 중국 정부가 합의한 기업인 신속통로(입국절차간소화) 절차에 따라 14일간의 자가격리가 면제된다. 2주간 '모바일 자가진단' 앱을 통해 건강 상태를 직접 입력해 능동감시 대상자 의무를 지키면 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중국 출장을 마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서울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SGBAC)를 통해 귀국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이번 출장에서는 삼성전자의 핵심 반도체 생산거점인 시안 낸드플래시 사업장 방문이 이뤄졌다. 삼성전자는 2017년 중국 시안에 3년간 70억달러(약 7조8천억원)를 투자해 3D 낸드플래시 생산량 확대에 나섰다. 이후 지난해 말 80억달러 규모의 2차 투자를 결정하며 반도체 사업에 고삐를 죄고 있다.

이 부회장은 시안 사업장에서 진행된 코로나19 대책 회의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가오는 거대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시간이 없다. 때를 놓치면 안된다"며 위기의식을 드러내기도 했다. 후허핑 서기와 류궈중 성장 등 산시성 고위 당국자와의 접견 자리에서는 공동 방역 노력과 기업 지원 강화, 메모리 반도체를 비롯해 배터리, 바이오 등 미래 먹거리 협력이 거론됐다.

복귀한 이 부회장은 미·중 무역갈등 속에서 벌어진 화웨이 제재 조치에 대한 대책 마련에도 나설 것으로 보인다.

미국 상무부는 최근 자국의 기술,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반도체를 화웨이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 승인을 거치도록 하는 제재안을 발표했다. 이번 제재로 한국산 반도체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삼성전자 등 반도체 기업들이 수혜를 입을 수 있다는 시각도 있지만, 미국이 제재 범위 확대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려운 만큼 불확실성도 상존하고 있다. 미국 정부의 미국 내 반도체 생산시설 확대 압박도 거세다.

실적 측면에서는 반도체보다 그 외 다른 사업부들에 대한 위기감이 더 짙다. 버팀목이 되는 반도체를 사수해야 한다는 의지가 강한 이유로도 풀이된다. 2분기에는 코로나19 여파로 기업들의 수익이 전반적으로 하향곡선을 그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TV·가전, 디스플레이 사업이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범세계적인 사회적 거리두기와 경제 위기로 판매와 수요가 꺾이면서다. 코로나19 완화 시점을 맞게 되더라도 탄력적으로 수익이 개선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일선 경영 현장을 떠나 당장 검찰의 삼성 합병의혹 관련 소환 조사도 임박해 경영 불안 요소로 작용한다.

관련기사

업계는 이 부회장이 이르면 다음주 검찰에 소환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당초 이번주로 예정됐지만 중국 출장 등 이유로 미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위한 지배구조 개편 작업의 일환으로 합병이 이뤄진 것인지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국정농단 파기환송심은 특검의 재판부 기피 신청에 대한 대법원의 최종 판단이 나오기까지 최소 수개월이 예상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이 부회장이)각종 재판과 수사들이 매듭 지어져야 결과에 따라 경영에 집중할 수 있는 기회를 얻거나 책임을 지게 되더라도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