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년 내 실험실 창업 바이오기업 500개 육성

바이오 창업 기업 고용효과 뛰어나

과학입력 :2018/05/29 14:46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바이오 원천 연구개발(R&D) 전체로 실험실 창업 지원을 확대한다. 이를 통해 바이오경제 구현의 씨앗이 될 실험실 창업 기업을 2022년까지 500개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29일 과기정통부는 홍릉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바이오경제 2025 일자리 기업 간담회를 열고, 공공 연구성과를 일자리로 연결하기 위한 ‘바이오경제 2025 일자리전략’을 발표했다.

지난해 9월 범부처 차원의 바이오 육성전략인 바이오경제 혁신전략 2025 발표 이후 관계부처는 이를 구체화하는 후속 전략을 마련하고 시행 중이다.

■ 바이오 분야 창업, 일자리 창출 효자

국내 바이오 중소 벤처 평균 근로자가 29.5명으로 전체 벤처 평균인 23명을 훨씬 웃도는 고용효과를 보이고 있다. 최근 창업도 연 400개 수준으로 급증하면서 바이오는 일자리 창출의 핵심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는 시장이 원하는 혁신적인 기술 확보가 사업의 성패를 좌우하므로 우수 연구성과 기반의 실험실 창업이 유효한 대표 분야다.

국내 실험실 창업 성과의 대표 사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경우, 우수한 연구결과를 가진 연구원의 창업과 기업 성장을 보육을 통해 지원해 11개사 코스닥 상장과 250억 투자유치 지원의 성과를 기록했다.

■ 바이오 실험실 창업기업 집중 양성

과기정통부는 공공 연구 성과를 창업으로 연결해 벤처 붐을 지속하고, 창업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 R&D가 일자리를 만드는 모습을 바이오에서 대표적으로 제시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마련된 바이오경제 2025 일자리전략은 2022년까지 바이오 실험실 창업기업 500개 창출을 목표로 바이오 창업의 낮은 성공률과 긴 기간을 극복하는 체계적 지원을 제공하고자 추진된다.

우선 국가 바이오 R&D를 재설계해 모든 원천 R&D를 대상으로 창업과 일자리로 연결되는 지원 체계를 만든다. 연구자는 연구에 전념하고 전문가는 별도로 지원한다.

또한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을 중심으로 인력, 장비, 시설, 공간을 제공하고 사업화 전략 마련까지 한 곳에서 통합적으로 지원한다.

연구자가 자발적으로 기술사업화에 참여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적 개선과 함께 시장과 의료 현장과 교류하고 규제와 자금 걱정 없이 창업할 수 있는 바이오 생태계 조성도 추진된다.

■ 정부, 현장 중심 맞춤형 지원 제공

바이오 연구개발(R&D)이 창업과 일자리로 연결된 성과를 실험실 출신 창업가와 함께 홍보하고 촉진하기 위해 마련된 간담회에서는 바이오 일자리 정책에 대한 현장의견 수렴도 함께 이뤄졌다.

연구자에서 시작해 현재는 창업가로서 일자리 현장에서 활동 중인 기업 참석자는 병원, 공공연구소, 투자자, 규제기관 등을 연계해 R&D부터 시장 진출까지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해 줄 것을 강조했다.

휴대용 자가진단 의료기기로 매출액 90억원 규모로 성장한 생명연 연구소기업인 미코바이오메드는 R&D 단계부터 인허가?사업화 컨설팅을 통해 시간?자금?인력 부담을 덜어주기를 요청했다.

또 해외에 의존 중이던 비임상 시험을 50% 점유하겠다는 도전적인 목표로 성장 중인 연구개발서비스업체(CRO) 켐온은 초기 기업 자금 지원과 맞춤형 창업 교육과 컨설팅 프로그램 필요성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이진규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우리의 목표는 단순히 일부 창업 지원 R&D 뿐만이 아니라 바이오 원천 R&D 전체에서 창업과 일자리라는 바이오경제의 새싹이 자랄 수 있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세계에서 통하는 혁신적 ‘기술’, 실험실 창업을 돕는 ‘사람’과 ‘환경’, 혁신적 연구와 창업을 촉진하는 ‘제도’에 초점을 두고 현장이 원하는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