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림보 거인 유럽, 승천하는 용 중국

[기자수첩]CeBIT2015 단상

기자수첩입력 :2015/03/17 17:22    수정: 2015/03/18 07:19

이재운 기자

<하노버(독일)=이재운 기자>유럽은 흡사 거대한 몸집을 가진 ‘거인’의 이미지다. 거인들은 19세기와 20세기 중반까지 세계를 지배했다. 거인들의 신화가 무너지기 시작한 것은 2차 세계대전 직후부터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유럽 전역은 시설 재건과 경제 회복에 상당한 비용을 지불해야 했다. 거인은 이렇게 ‘느림보’가 됐다.

중국은 ‘승천하는 용’의 기세로 세계 최강 2대 국가인 G2의 자리에 등극했다. 기실 중국은 15세기 명나라 시절 정화 함대가 거대한 배를 이끌고 인도와 아랍, 아프리카에 이르는 여정을 떠나는 등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했다. 19세기 초까지만 해도 전 세계의 공통 화폐인 ‘은’을 가장 많이 보유한 나라가 바로 중국이었다.

느림보 유럽이 용의 기세로 발전하는 중국에게 기대하는 것은 빠른 속도의 ‘실행력’과 ‘숙련된 노동력’이다. 중국은 유럽에게 고도화된 기술과 자본 투자를 원한다. 서로의 필요성이 맞아 떨어지며 미국 중심의 질서를 견제하는 ‘하모니’가 완성되고 있는 것이다.최근 프랑스에서는 한국 대기업에서 10여년간 일하며 현지 지사장까지 역임한 인물이 한국식 기업문화에 대한 책을 써 화제가 되고 다.

저자는 책에서 한국 대기업의 경직된 문화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했지만, 이후 언론 인터뷰에서는 “놀라울 정도의 실행력”이 인상적이었다고 전했다. 이는 한국과 중국 등 동아시아 계열 기업들이 가진 크나 큰 강점이면서, 동시에 유럽 기업들이 갖지 못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유럽은 여전히 느리다. 세빗2015 개막식에 독일 측 기조연설자로 나선 디터 켐프 비트컴 대표는 ‘프로슈머’나 ‘디지털화’ 같은, 이미 미국이나 동아시아에서는 수 년 전에 유행한 표현을 자주 언급했다. 그만큼 변화의 속도에 둔감함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장면이다.

독일은 올해 동반국가로 중국을 선택하고 '중-독 ICT 서밋 행사'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독일의 대표적인 IT서비스 업체인 T시스템즈의 페리 아볼하산 최고경영자(CEO)는 과거에는 독일의 IT서비스 업체가 시장을 지배했지만, 이제는 상황이 변했다며 탄식했고, 클라스 노이만 SAP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중국의 젊은 연구개발 인력 확보를 위해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러브콜을 보냈다.

반면 리우지렌 노이소프트 CEO와 레이쥔 샤오미 CEO 등 중국 측 인사들은 독일과의 사업 협력 모색과 함께 미래의 청사진을 자신있게 제시하며 대조되는 모습을 보였다.

관련기사

비록 19세기에 추월을 허용하긴 했지만, 수 천 년간 세계 경제에서 가장 부유한 곳은 중국이었다. 그런 중국이 다시 기지개를 켜면서 세계의 이목이 쏠리는 것은 꽤나 자연스러운 흐름이다. 세빗은 이례적으로 올해 중국에 이어 내년에는 한국에 동반국가 제의를 하는 등 아시아에 대한 구애를 멈추지 않고 있지만, 한국 정부는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20년 전만 해도 상상하기 어려운 장면이다.

최근엔 미국의 대표적인 우방으로 꼽히는 영국이 G7 국가로는 처음으로 중국 주도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가입하겠다고 밝혀 떠들썩하기도 했다. 바야흐로 중국이 다시 세상의 중심으로 돌아오려는 전조가 아닐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