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계약…따져봐야 할 16가지

일반입력 :2013/08/05 08:14    수정: 2013/08/05 09:17

송주영 기자

계약 경험이 적은 중소형 기업이 클라우드 서비스 계약을 할 때 꼭 따져봐야할 내용이 있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비스에서는 품질, 가용성, 안정성, 확장성, 유연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이같은 개념은 이해하기 쉽지만 이를 실제 계약에 적용하는 방법은 쉽게 체감할 수 없다.

클라우스 서비스는 최근 확장 추세다. 유연하고 확장이 자유로운 클라우드 서비스는 게임업체 등 서버 용량 변화가 심한 산업을 중심으로 설득력을 얻었다. 통신사, IT서비스 업체 등도 클라우드 서비스 확산에 적극적이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기업 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과는 또 다르다. 클라우드가 시스템을 외부에 두고 IT서비스를 받는 개념인 만큼 꼼꼼하게 잘 따져보고 계약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 미국에서 출간된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 기술, 아키텍처’의 공동저자 토마스 얼, 자이그함 마흐무드, 리카르도 푸티니 등은 성공적인 이 책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 계약(SLA) 방안을 16가지에 걸쳐 제시했다.

■꼭 따져봐야할 첫 번째 가용성

첫 번째는 가용성이다. 서비스 가동 시간은 비율(퍼센티지)로 측정할 수 있다. 일정 기간 동안 서비스가 실제로 제공된 시간을 날짜 대비 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가용성을 측정했다면 두 번째는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해야 한다. 서비스가 중단된 시점의 날짜, 시간과 다시 가동되기 까지 얼마의 시간이 걸릴 것인가를 측정해 계약사항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세 번째로는 서비스가 한번 중단된 이후 또 다시 중단되기까지 걸리는 평균 시간(MTBF)다. 서비스가 한번 중단되고 가동됐다가 또 다시 중단되기까지의 시간을 예상할 수 있어야 한다. 정상 운영 평균 시간, 실패 횟수 등을 계약해서 고려해야 한다.

네 번째는 신뢰성 평가다. 미리 상황을 설정하고 서비스가 성공하는 결과의 비율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서비스 요청 횟수 대비 성공적인 응답 속도의 수를 비율로 계산해 정할 수 있다. 다섯 번째는 네트워크 용량이다. 대역폭을 고려한 초당 처리량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네트워크 처리량은 초당 Mb(메가비트) 단위로 정보 전송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스토리지 기기 용량은 여섯 번째로 고려해야 할 요소다.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GB(기가바이트) 당 스토리지 크기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네트워크, 스토리지 용량을 측정했다면 일곱 번째는 서버의 성능 측정이다. 서버의 성능은 CPU는 GHz로, 서버 용량은 GB로 표현할 수 있다.

여덟 번째는 웹 애플리케이션 용량이다. 웹 애플리케이션 성능은 분당 서비스를 불러왔을 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정보의 양으로 측정할 수 있다.

■서비스 복구 시간도 꼭 챙겨야

인스턴스가 시작되는 시간도 꼭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인스턴스 시간의 측정이 따져봐야 할 사항 아홉번째다. 새 인스턴스를 초기화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정해야 한다. 인스턴스를 요청한 때부터 실행까지의 날짜, 시간을 기록해 분 단위로 측정한다.

열 번째는 응답시간의 측정이다. 동기화 서비스에서 응답을 요청한 총 횟수와 응답 속도를 ms(밀리세컨드)로 표현한다. 완료시간 측정도 중요하다. 비동기 업무를 완료하는 시간을 측정해 총 요청 횟수, 반응 날짜 등을 초 단위로 표현하는 것이 열 한번째로 고려해야 할 요소다.

열 두번째는 스토리지 확장이다. 증가되는 작업에 대해 스토리지의 확장을 얼마나 허용할 것인가를 고려해야 한다. 확장 용량은 GB 단위로 표현할 수 있다.

열 세번째는 서버 확장이다. 작업이 증가할 때를 고려해 확장할 수 있는 서버의 용량을 정해야 한다. 이는 가상 서버의 숫자로 표현할 수 있다.

열 네 번째로 측정해야 할 것은 작업 변동에 따른 서버의 용량 허용치 변화다. 용량은 성능은 CPU의 개자, 메모리는 GB 단위로 표현할 수 있다.

관련기사

열 다섯 번째는 인스턴스 교체 시간이다. 서비스가 실패했을 때 장애가 난 자원을 백업한 다른 지역의 정상적인 인스턴스로 바꿀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실패 횟수, 날짜, 시간 등을 기록해 분으로 표현한다.

마지막 열 여섯 번째는 평균 시스템 복구 시간 측정이다. 서비스에 실패했을 때 완전 복구까지 걸리는 시간을 추산해야 한다. 서비스 중단 시간, 횟수와 함께 분으로 표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