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듀! 2010]미디어빅뱅 원년? 폭풍전야 방송가

일반입력 :2010/12/23 10:11    수정: 2010/12/23 10:15

정현정 기자

벤쿠버 올림픽 단독중계 논란으로 올해를 시작한 방송계는 종합편성채널 사업자 선정 문제로 내내 시끄러웠다. 종편채널 선정은 KBS 수신료 인상과 맞물리면서 방송계를 넘어 정치 논란에까지 휩싸였다. 지상파 재송신을 놓고 벌어진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TV 업계의 갈등 또한 핫이슈였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은 신년사에서 올해를 미디어빅뱅 원년으로 삼고, 종합편성채널 선정과 민영 미디어렙 도입, KBS 수신료 인상 등으로 미디어 시장에 큰 변화가 생길 것을 예고했다.

하지만 올해 주요 방송 현안들이 결국 정치 싸움과 돈 문제로 수렴되면서 방송·통신 융합과 경쟁 촉진을 통한 미디어 산업 경쟁력 강화라는 미디어 빅뱅의 취지는 그 빛이 바랬다.

KBS 수신료 인상, 지상파 재송신 제도개선, 민영 미디어렙 도입 등 연초부터 시간을 끌어온 굵직한 이슈들은 논란에 마침표를 찍지 못한 채 여전히 진행 중이어서 혼란은 내년에도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빅뱅 '뜨거운 감자' 종편채널

종합편성채널 사업자 선정은 방통위가 도입 계획을 밝힌 이후 지난한 논의를 거듭해오다 올해 급물살을 탔다.

방통위가 올해 8월 '종합편성·보도전문채널 승인 기본계획안' 공개하고 사업자 선정 작업을 공식화한 후 일정은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지난 1일 종합편성·보도전문 방송채널사용사업 승인신청을 접수를 마감한 결과, 종합편성 6개, 보도전문 5개 등 총 11개 법인이 접수했다.

방통위는 관계기관 의견조회, 시청자 의견청취, 심사위원회 운영 등 심사 과정을 거쳐 이달 말일 경 최종 사업자를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 종편채널이 올해 안에 선정돼 내년 말 방송 송출을 시작하게 되면 방송시장 구도도 크게 재편될 전망이다.

종편채널 선정과 맞물려 정치 공세를 받았던 KBS 수신료 인상 논의도 지난 11월 KBS이사회가 30년 동안 월 2천500원으로 묶여있던 TV수신료를 3천500원으로 인상하는 안을 전원 찬성으로 의결하면서 본격 추진된다. 종편채널 선정과 함께 수 년을 끌어 온 미디어 업계의 해묵은 난제들이 하나둘 해결되는 모양새다.

종합편성채널을 바라보는 미디어 업계에는 두 가지 시선이 공존한다.

종편채널이 도입되면서 콘텐츠 투자 여력이 늘어나 케이블 콘텐츠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란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다. 동시에 종편채널 등장으로 콘텐츠 여력이 없는 중소PP들이 궁지에 몰리고, 방송광고시장을 잠식해 유료방송시장이 공멸할 것이라는 우려도 존재한다.

또, 방통위가 절대평가 방침을 밝히면서 선정되는 사업자 수조차 정해지지 않은데다 광고시장은 여전히 한정돼 있다는 점에서 종편 채널의 성공 가능성도 아직은 미지수다.

■방송업계 주도권 경쟁 '치열'

방송계는 연초부터 벤쿠버 동계 올림픽 독점중계 논란으로 시끄러웠다. 지상파 3사는 법정까지 가는 진흙탕 싸움을 벌였지만 접점을 찾지 못해 결국 2010 남아공월드컵도 SBS가 독점으로 중계했다.

이 과정에서 보편적 시청권 개념과 소비자의 채널 선택권에 대한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이후 지상파 3사는 국제 스포츠 중계권 공동협상창구인 ‘코리아 풀’을 복원하고 SBS는 2012년 런던올림픽과 이후 월드컵 등을 KBS, MBC와 공동중계하기로 합의하면서 단독중계 논란은 일단락 됐다.

하반기에는 지상파 방송사와 케이블TV 업계가 지상파 재송신 문제를 놓고 한바탕 전쟁을 치뤘다.

지상파는 콘텐츠 재전송에 대한 대가를 요구하고 나섰지만 케이블 측은 그동안 케이블TV가 지상파 난시청 해소에 기여한 공로를 내세워 ‘한 푼도 낼 수 없다’며 버텼다.

지상파 방송 송출 중단이라는 극단으로 치닫던 지상파-케이블 간 분쟁은 방송통신위원회가 뒤늦게 중재에 나서면서 잠정적인 합의에 이르러 양측은 연말까지 협상을 매듭짓고 내년 1월까지 재송신 제도개선을 이루기로 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재송신 문제 해법에 대한 양측에 시각차가 커 실마리를 풀어가는 데는 어려움이 예상된다.

케이블 측은 재송신 유료화를 전제로 한 대가 논의는 있을 수 없다는 견해고, 제도개선을 통한 문제 해결에 무게를 두고 있다. 하지만 지상파는 보편적 시청권 보장과 의무재송신 제도개선에 앞서 협상을 통한 콘텐츠 대가 산정이 전제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재송신 갈등에 이어 최근에는 지상파 방송사들이 지상파 다채널방송서비스(MMS) 추진을 본격화하면서 케이블 등 유료방송플랫폼과 감정의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본격적인 다 플랫폼 시대가 열리면서 케이블TV·위성방송·IPTV 등 유료방송 사업자 간 경쟁이 가열되는 가운데, 내년 종편·보도채널이 방송을 시작하고 민영 미디어렙이 도입돼 방송광고시장에도 시장 논리가 적용되면 방송업계는 무한 경쟁 체제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스마트TV가 미디어 업계의 화두로 떠오르면서 방송사업자 뿐만 아니라 통신사, 제조사,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까지 경쟁에 뛰어들고 있어 갈수록 방송 플랫폼 주도권을 둘러싼 싸움을 치열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