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게임 업계, 훈풍 불까?

일반입력 :2014/09/24 10:32    수정: 2014/09/24 10:39

박소연 기자

최근 게임 산업을 대하는 정치권의 변화가 새롭다. 게임에 대한 규제 완화와 지원 강화 움직임이 보이는 등 이른바 ‘게임중독법’으로 게임 업계를 압박하던 과거와는 다른 모습이기 때문이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게임 업계에 좋은 소식이 연달아 들려오고 있다. 대표적인 반(反)게임 인사로 불리는 신의진 새누리당 의원의 색다른 행보부터 실질적인 지원 확대까지 다양하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는 지난 23일 내년도 예산안을 발표하면서 게임 등 콘텐츠 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밝혔다. 지역기반 게임 산업 육성을 위해 신규 예산 70억 원을 편성하는 등 게임에 힘을 쏟는 모습이다.

내년도 문체부의 재정규모는 4조8천752억 원으로 올해 4조4천224억 원에 비해 10.2% 증가했다. 콘텐츠 분야는 6천122억 원으로 올해에 비해 약 18.1% 증가했으며, 이 중 게임 산업 육성을 위한 예산은 288억4천만 원으로 지난해 268억8천만 원에 비해 7.2% 가량 증가한 규모다.

‘문화콘텐츠 국제협력 및 수출기반 조성’에 통합 편성된 해외진출사업인 온라인게임 글로벌서비스플랫폼 지원(26억), 모바일게임 글로벌퍼브리싱(40억), 게임수출 활성화 지원(7억), 게임 해외마케팅 지원(5억) 등의 78억 원을 포함한다.

문체부는 예산을 활용해 모바일 게임 및 기능성 게임과 글로벌 게임센터 및 지역기반 게임 산업 육성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게임 산업을 국가 경제의 신 성장 동력으로 삼기위해서다.

부산경남권 ‘융합형 게임 산업’, 대구경북권 ‘글로벌 게임 산업’, 전북권 ‘기능성 게임 산업’ 등 3개 권역별 특성에 맞는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수도권 지역에 편중되어 있는 게임문화산업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문체부는 문화기술 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음악, 영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뮤지컬 등과 함께 게임을 킬러콘텐츠로 집중 육성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 외에도 문화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자금 대출을 지원하는 콘텐츠산업 완성보증제도의 지원 장르에도 게임이 포함된다.

내년도 게임 산업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다. 규제 완화 움직임도 보인다.

지난 18일 개최된 게임물관리위 등급분류회의에는 ‘모바일 웹보드게임 심의 기준 변경안’이 보고안건으로 상정됐다. 모바일 웹보드게임도 PC 웹보드게임처럼 아이템 판매를 허용하고, PC 버전과 모바일 버전의 게임 계정을 연동할 수 있도록 하자는 내용이다.

24일 현재 모바일 웹보드게임은 상용 모델이 전혀 허용되지 않고 있다. 변경안이 의결될 경우 모바일 웹보드게임에서도 현금구매로 게임머니를 충전하고 게임을 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게임 업계의 오랜 걱정거리였던 게임중독법도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해당 법안을 발의한 신의진 의원이 최근 게임 업계와의 스킨십을 강화했기 때문이다.

신 의원은 지난달 25일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 부회장사 대표들과 비공식 회동을 가진 데 이어 지난 2일에는 e스포츠 행사에 참석하기도 했다.

회동 자리에는 NHN엔터테인먼트, 네오위즈게임즈, 넥슨코리아, 넷마블, 스마일게이트, 엔씨소프트, 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등 7개사가 참석해 신 의원과 편안한 분위기에서 대화를 나눴다. 서로 그동안 쌓였던 오해를 풀며 화해 무드가 연출됐다는 후문이다.

지난 2일 참석한 ‘제 10회 전국장애학생 e스포츠 대회’ 개막식에서도 신 의원은 새로운 모습을 보여줬다. 이례적으로 참석한 e스포츠 대회 현장에서 직접 학생들과 함께 모바일 레이싱 게임을 즐기기도 하며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한 것.

정치권의 새로운 모습에 게임 업계에서는 내년도에 대한 기대를 비추고 있다. 웹보드게임 규제가 시행되고 국정감사에 게임 업체 대표들이 줄줄이 소환 되는 등 올 한 해 부정적인 이슈들이 여럿 발생한 터라 더 그렇다.

관련기사

정치권의 게임 관련 규제 강화 움직임으로 게임사들의 올해 실적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대형 게임사들이 적자를 면치 못하는 등 규제 직격탄을 맞은 모습. 이에 게임사들은 매출을 다각화하고 해외 시장 진출에 집중하는 등 돌파구를 모색하기 위해 힘써 왔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에서는 게임 산업 육성에 힘을 쏟는데 반해 국내에서는 강도 높은 규제로 게임 업체들을 압박하고 있어 국내 게임 업계가 전반적으로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내년도 게임 관련 예산이 신설되는 등 실질적인 지원책이 마련된 만큼 내년에는 정치권에서 게임 업계 숨통 틔워주기에 나설 수도 있다는 기대를 가져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