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정부, 4차산업혁명위 맞먹는 바이오경제위원회 필요"

과총, 바이오경제포럼서 주장…생명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도 방안

방송/통신입력 :2021/12/30 17:34    수정: 2021/12/31 08:27

“현 정부의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벤치마킹 해 다음 정부에서는 바이오경제위원회 설립을 고려해볼 수 있다. 바이오경제를 추진할 수 있는 자문위원회이자 준부처 성격을 갖는 행정위원회가 된다면 범부처 조정체계와 더불어 강하게 바이오 육성 드라이브를 걸 수 있을 것이다.”

박상욱 서울대 교수는 30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바이오경제포럼 정기 회의에서 차기 범부처 추진 체계에 대해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박 교수는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법령 근거 없이 국무회의 규정만으로만 운영되고 있지만 굉장히 강력한 위원회고 사무국에 파견된 인력도 많은 강한 추진기구”라면서 “이외에도 과기정통부, 산업부, 보건복지부, 농림수산부, 해양수산부 등이 총연합한 생명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상욱 서울대 교수

이어 “대통령 비서실에 바이오 비서관을 두는 것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수석실 레벨보다는 가령 과학기술혁신수석실을 신설해 그 안에 바이오 비서관을 두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범부처 추진계획 외 연구개발 지원체계에 대해서는 “한국연구재단, 산기평, 보건산업진흥원 등에 분산돼 있는 바이오 관련 지원단들을 모아서 바이오본부라고 하는 것을 만드는 것”을 제안했다.

박 교수는 “1994년도 이전에는 기본계획 시작 전인데 사실상 우리나라에서 바이오연구를 제대로 하는 곳은 많지 않았고, 본격적으로 생명과학육성기본계획이 1~3차에 걸쳐 나오면서 R&D부터 시작해 발전기에 이르며 네트워크가 형성됐다”면서 “2017년 이후를 대학에서의 바이오 R&D가 꽤 활성화 됐으며 이후 대기업, 중소기업, 스타트업 등 다양한 기업들이 민간 산업부분을 이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현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전략단장은 “우리가 실질적으로 바이오 R&D 가치가 어떤 것을 지향하는지 생각해보고 거버넌스가 어떻게 일치하는지 생각해봐야 한다”며 “효율성을 위해 다 모으면 가장 좋은 모형이 되겠지만 결과적으로 실질적으로 기술적으로 모아놓으면 미션, 목적 지향적을 위한 본말이 왜곡되거나 잘 전달되지 못하는 형태가 될 수 있어 이런 부분 잘 조절해 국부의 창출, 국민보건의 증진, 과학기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기술을 결합해 기초연구 과정을 앞당길 수 있도록 정부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조언도 제기됐다.

관련기사

김흥열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은 “신약개발 시 기술확립까지만 해도 25년, 임상에서 FDA 통과하는데 35년걸린다는 얘기도 있다”며 “얼마 전에 코로나19로 m-RNA에 대한 연구가 30년만에 빛을 보게 됐다는 얘기도 기초 연구와 재빠른 분석 필요성의 주요한 사례”라고 강조했다.

이어 “생명현상을 더욱더 빠르게 정확하게 분석해내는 역할이 굉장히 중요할 것”이라며 “AI, 디지털과 결합해 신약개발의 레드그린화이트 공통된 부분에 적용하고. 여러 바이오 분야에 전환을 이끌 수 있는 지원 기반으로 공통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거버넌스 구조가 요구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