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소규모 수소추출시설 구축 사업 공고

충전소 연결해 LNG로부터 추출…하루 1t 생산 가능

디지털경제입력 :2020/03/23 11:00

정부가 수소버스 운행에 맞춰 수소 공급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낸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오는 24일 소규모 수소추출시설 구축사업을 공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접수 기간은 이날부터 다음달 23일까지다.

정부는 지난해 출연사업으로 시행한 소규모 수소추출시설 구축사업을 보조사업으로 변경, 새롭게 확대 개편했다. 이번 공고를 통해 총 250억원의 국비를 지원해 소규모 수소추출시설 5개소(개소당 50억원 지원)를 구축한다.

이번 사업은 정부가 지난해 1월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일환이다. 수소경제 초기 정부의 선제 투자를 통한 수소버스 기반 대중교통망 조성을 위해 소규모 수소추출시설의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수소버스는 수소승용차 대비 다량의 수소를 소비해 수요지 인근 수소 생산을 통해 더욱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수소 공급이 필요하다.

수소버스가 서울 양재동 현대기아차 본사 앞을 지나가고 있다. (사진=현대차)

추출시설은 지역별 수소버스·충전소 보급에 맞춰 구축된다. 올해는 버스 180대, 버스충전소 13기가 보급될 예정이다.

소규모 수소추출시설은 버스충전소와 직접 연결해 액화천연가스(LNG) 등에서 수소를 추출·생산하는 시설(On-site·온사이트형)이다. 하루 약 1톤(t)의 수소생산이 가능한데, 이는 수소버스 40대에 공급 가능한 분량이다.

정부는 이번 구축사업에서 ▲인근 수소버스 운행 노선과 버스충전소 연계 여부 ▲수소 공급가격과 운영 계획 ▲주민수용성과 안전성 확보 방안 마련 여부 등의 요소를 위주로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수소 공급의 경제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속도감 있는 수소버스 확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관련기사

정부는 앞으로 이러한 수소추출시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선적으로 수소버스 보급의지가 큰 지역에 집중할 것"이라며 "중기적으로 다른 지역에도 확산함으로써 수소경제 로드맵 상 수소버스 보급목표에 맞춰 전국적 수소버스 보급을 위한 공적 인프라 조성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