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공공연구성과 조기 사업화 지원책 찾는다

과기정통부, 공공연구성과 사업화 5개 기관과 방안 모색

과학입력 :2020/03/17 17:17

정부가 감염병 관련 공공연구성과의 사업화와 현장적용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책을 마련키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병선 제1차관은 17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공공연구성과 확산 협의회’를 주재하고, 최근 코로나19 위기상황과 관련해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감염병 대응 주요기술의 현장 적용이 어려운 이유를 점검하고 지원책 마련을 주문했다.

이날 협의회는 공공연구성과의 사업화를 담당하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대덕연구개발특구본부, 한국연구재단,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한국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등 5개 주요기관에서 코로나19 등 감염병 대응을 위해 현장적용을 검토해 볼 수 있는 후보기술을 소개하고, 이의 신속한 적용이 어려운 이유와 정책적제도적 개선방향을 논의하는 순서로 이뤄졌다.

협의회 참석자들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된 감염병 진단기기, 바이러스 세정기술, 소독제 등 감염병 대응예방과 관련된 다양한 공공연구성과물들의 사업화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이의 현장적용 가능성과 기대효과 등에 대해 검토했다.

관련기사

특히, 이날 협의회에서는 감염병 관련 공공연구성과물들의 신속한 현장적용과 사업화가 어려운 공통된 요인으로 ▲인체적용 기술로써 각종 인허가 과정 ▲기술제품의 완성도 제고를 위한 반복테스트와 추가 기술개발 ▲현장의 외산장비 선호경향 ▲본격 양산을 위한 판로개척 등이 주로 제기됐다

정병선 제1차관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지금의 국가적인 위기상황에서 공공연구성과 사업화 기관의 큰 사회적 역할이 요구된다”라며 “지금의 위기를 하루 빨리 극복할 수 있도록 코로나19 등 감염병 대응에 활용될 수 있는 공공연구성과의 발굴과 이의 신속한 현장적용에 각 기관의 역량을 집중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