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내년 예산 9조4천608억원으로 23% 증액

‘시스템 반도체·바이오헬스·미래차’ 지원에 4천770억원 투입

디지털경제입력 :2019/08/29 09:00    수정: 2019/08/29 09:22

산업통상자원부가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내년도 예산안을 9조4천608억원으로 증액 편성했다.

29일 산업부는 내년도(2020년) 예산안을 전년 대비 23%(약 1조8천억원) 늘어난 9조4천608억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내년도 예산은 경제활력 제고와 경제체질 개선을 목표로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혁신성장 가속화에 초점을 맞췄다. 대표적으로 국내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예산이 2조8천618억원으로 대폭 증가했다.

산업부 소관예산 연도별 추이. (자료=산업부)

산업부는 “2020년도 예산안을 준비하면서 소재·부품·장비 산업 분야에 대한 과감한 투자 등을 통해 우리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수출활력 회복, 에너지 전환 및 안전투자 확대, 지역경제 활성화 등에 주안점을 뒀다”며 “2020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은 내달 3일 국회에 제출돼 국회 의결을 거쳐 올해 12월초 확정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에 2조8천618억원 예산 편성

산업부는 내년도 소재·부품·장비 산업 관련 예산으로 올해보다 37.8% 늘어난 2조8천618억원을 편성했다.

이는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응해 100대 핵심 전략품목의 조기 공급안정화와 소재·부품·장비 산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를 지원하는데 집중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시스템 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등 핵심 산업 예산도 대폭 확대해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에 주력할 방침이다.

핵심 산업별 예산반영현황. (자료=산업부)

구체적으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 ▲시스템 반도체 비전과 전략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 전략 ▲중소 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자동차 부품 산업 활력 제고방안 ▲로봇 산업 육성 전략 ▲조선 산업 활력 제고 대책 등이 추진될 예정이다.

산업부는 우리나라가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실증 및 양산 테스트베드, 신뢰성 보증 등을 전주기적으로 연계 지원할 계획이다. 이에 산업부 소관 내년도 예산은 올해보다 89.8% 늘어난 1조2천716억원으로 편성됐다.

정부 부처 전체의 내년도 소재·부품·장비 예산도 2조1천250억원으로 올해 8천327억원 대비 1조2천923원이나 늘어났다.

정부는 소재·부품·장비의 패키지 기술개발과 업종간의 융합형 기술개발을 위한 ‘소재·부품 기술개발 사업(올해 2천360억원)’을 내년에는 6천27억원 수준으로 3배 가까이 확대하고, 장비 구축 및 성능 평가에도 과감한 투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나아가 범부처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 설치를 위해 운영 예산도 별도로 반영하기로 했다.

소재·부품 산업 기술개발 기반 구축에 1천834억원(올해 641억원). 기계·산업 핵심 기술개발에 920억원(올해 476억원), 소재·부품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1천457억원(올해 632억원),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위원회 지원에 25억원이 신규로 투입될 예정이다.

산업부는 대외의존도가 높아 국산화가 시급해 국가재정법에 따른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하기로 한 ‘전략 소재 자립화 기술개발 사업(1천581억원)’과 ‘제조 장비 시스템 스마트제어기 기술개발 사업(85억원)’ 등 2개 연구·개발사업 예산도 적극 반영했다.

또 소재·부품·장비 핵심 기술의 자립화 및 관련 산업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안정적인 투자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소재·부품·장비 산업 특별회계(가칭)’ 설치를 추진하고, 올 하반기 내 소재·부품 전문 기업 육성 특별조치법 등 관련 법률 개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 ‘시스템 반도체·바이오헬스·미래차’ 빅3 핵심 산업 육성 집중

산업부는 시스템 반도체와 바이오헬스, 미래차 등 시장 성장가능성이 크고 선제적인 투자로 글로벌 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점할 수 있는 분야를 빅3 핵심 산업으로 선정하고, 지원예산을 대폭 증액했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반도체 분야 예산을 1천96억원(올해 472억원)으로 확대하고, 원천 기술개발부터 제품화까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반도체 개발 전주기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 4월 경기 화성 삼성전자 사업장에서 열린 시스템 반도체 비전 선포식. (사진=뉴시스)

특히, 시스템 반도체 핵심 IP(지적재산) 개발과 설계지원센터 구축 등의 사업비를 신규로 반영해 설계 기업(팹리스)의 성장도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내년도 신규 사업으로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467억원)과 시스템 반도체 핵심 IP 개발(90억원), 시스템 반도체설계지원센터(60억원) 설립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바이오헬스 예산은 신약·의료기기 산업의 연구·개발을 확대하기 위해 1천509억(올해 863억원)으로 편성했다. 인공지능(AI) 기반 바이오 로봇, 정밀 의료기기 등 미래형 의료기기 시장선점을 위해 범부처 공동으로 대규모 연구·개발이 적극 추진될 예정이다.

미래차 예산은 글로벌 시장선점을 위해 2천165억원(올해 1천442억원)으로 확대했다. 관계부처와 수소차용 차세대연료전지 기술개발부터 테스트베드 구축, 친환경차 보급 확대 등을 위해 긴밀히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로봇, 수소경제 등의 신산업 분야에서도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원도 강화됐다.

산업부는 로봇 예산을 1천220억원(올해 991억원)으로 늘려 제조현장 근로자의 노동부담 경감과 안전한 일터환경 조성을 위한 제조로봇과 사회적 약자의 편익증진을 위한 서비스로봇 도입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수소경제 분야에서는 올해 초 발표한 수소경제 로드맵을 이행하기 위해 938억원(올해 530억원)에 달하는 관련 예산을 편성하고, 수소생산기지 구축과 연료전지·수소전주기 기술개발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지원도 강화했다. 산업부는 기초 및 고급연구인력 양성을 위한 예산을 확대 편성하고, 특히 차세대 전력반도체, 산업미세먼지저감, 융합디자인 등 인력부족이 예상되는 분야를 선제적으로 발굴해 교육과정 개발과 산학프로젝트 수행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 수출활력 회복지원금, 올해보다 56.1% 증액된 1조730억원

산업부는 수출활력 회복을 위한 회복지원금으로 1조730억원(올해 6천876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무역금융 확충, 수출마케팅 강화 등을 통한 수출활력 회복 지원에 집중하는 한편, 신남방·신북방지역 협력기반 강화와 통상분쟁대응에도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수출지원 확대를 위해서는 국가개발 프로젝트 및 방위산업 수출금융지원, 수출 중소기업 신흥시장 진출과 소재부품장비 대체수입 금융지원 등에 무역보험기금 출연규모를 3천700억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아울러 전략물자 식별 및 관리제도 교육 등 전략물자통제업무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투자도 강화할 예정이다.

일본 정부가 지난 28일 우리나라를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명단에서 제외하는 수출규제 조치를 강했했다. (사진=뉴스1)

구체적으로 ▲무역보험기금출연에 3천700억원(올해 350억원) ▲전략물자수출입통제기반구축을 위한 지원에 84억원(올해 69억원) ▲수출지원기반활용(바우처) 지원에 731억원(올해 564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특히, 통상분쟁대응을 위한 세계무역기구(WTO) 분쟁(한일 조선보조금, 수출규제 분쟁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통상이슈별 영향분석 및 대응전략 마련을 위한 통상정보센터도 설치할 예정이다.

통상분쟁대응을 위한 지원에는 234억원(올해 92억원), 통상정보센터설치운영을 위한 지원에는 15억원(신규)이 투입될 예정이다.

아울러 투자유치 및 신흥시장 진출을 위한 외국인투자기업에 대한 현금지원과 해외투자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투자유치기반조성사업비도 945억원(올해 871억원)으로 확대 지원하기로 했다.

■ 지역경제 활성화 지원에 1조6천168억원 편성

산업부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1조6천168억원(올해 1조4천75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를 위한 대책으로는 중소 기업 스마트제조 혁신전략과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 확산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나아가 산업단지 활성화, 지역투자유치 등 지역경제의 활력 회복을 위한 투자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이에 산업단지 입주기업·근로자 지원시설 등에 대한 예산부터 스마트산업단지 구축을 위한 공정혁신시뮬레이션센터, 스마트편의시설 확충 예산 등을 새롭게 반영했다.

관련기사

지난달 출범한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정부의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 중 하나인 스마트공장 보급을 종합 지원한다. (사진=중기부)

구체적으로 산업단지환경조성 분야에 4천130억원(올해 3천401억원)을 지원해 사회적 경제기업의 창업·판로·연구/개발·금융·디자인 등 전주기 성장을 지원하고, 지역산업의 고도화·다각화를 위한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사업에도 착수할 예정이다.

또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에 신규로 567억원의 예산을 편성하고, 지방이전·신증설 투자에 대한 보조금 예산을 확대하는 동시에 노사 상생형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업에 대한 보조금으로 210억원을 편성해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지역투자촉진을 위해서는 2천237억원(올해 1천481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