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핵심 부품 국산화하고 R&D 더 강화해야"

전문가들 ‘로봇 산업 육성 위한 정책토론회’서 한 목소리

디지털경제입력 :2019/06/27 16:51    수정: 2019/06/27 17:18

국내 로봇 산업이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핵심 부품의 국산화율을 높이고 △연구개발에 대한 정부지원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2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로봇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전문가 패널로 나온 조동일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부품 국산화 문제를, 박현섭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교수는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확대를 주로 지적했다.

조 교수는 “국내 로봇 산업의 가장 큰 문제점은 로봇 부품 및 부분품에 들어가는 핵심 기술 역량이 부족해 모두 수입에 의존한다는 것”이라며 “로봇 부품에 들어가는 핵심 원천기술에 대한 연구 및 투자가 산업 성장의 기반”이라고 지적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기술력은 로봇 부품 산업에서 일본 대비 74.6%, 소프트웨어 부문에서 미국 대비 81.3% 수준이다. 핵심 부품에 대한 수입액 역시 최근 3년간 4천780억원에 달해 수출액(1천901억원)의 2배를 넘는 실정이다.

2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로봇 산업 육성 위한 정책토론회’ 현장. (사진=지디넷코리아)

조동일 교수는 특히 “당장 로봇 제품을 팔아도 주요 부품들이 모두 수입품이라면 경제적 파급효과는 제한적”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연구개발 과제 지원이 필요하다”고 정부 연구·개발(R&D) 지원 확대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박현섭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교수는 정부 주도의 R&D 육성전략 강화를 주문했다.

예컨대 유럽은 세계 최대 규모의 민간주도 로봇 R&D 프로그램(SPARC)을 통해 공중·지상·수중에서 사용이 가능한 농업·보건·안전 등 다양한 분야의 로봇 기술 육성을 추진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돌봄·웨어러블·물류·의료 등의 특정 분야 R&D에 국한돼 있다는 것이다.

그는 특히 “전담 기획 전문가 조직을 확보해 우리나라의 로봇 기술 수준, 기술 인력의 분포, 로봇기업의 사업 방향, 시장과 사회 변화 예측 등 보다 다양한 상황을 고려해야 충실한 로봇 R&D가 도출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이날 정책토론회에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등이 참석해 지난 3월 정부가 발표한 로봇 산업 육성 전략(로봇 산업 발전방안)을 소개했다.

관련기사

로봇 산업 발전방안은 오는 2023년 로봇산업 글로벌 4대강국 도약을 목표로 ▲3대 제조업 중심 제조로봇 확대 보급 ▲4대 서비스 로봇분야 집중 육성 ▲로봇산업 생태계 기초체력 강화 등의 과제를 중점 추진하는 전략이다.

정부는 2023년 국내 로봇 산업 시장규모 15조원, 매출 1천억원 이상 중견 로봇전문 기업 20개 육성, 제조로봇 보급 대수 70만대 달성 등을 구체적인 목표로 설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