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5G 네트워크 가상화 통합 제어체계 개발

'E2E 인프라 오케스트레이터' 원격에서 국사 트래픽 제어

방송/통신입력 :2017/12/03 16:46    수정: 2017/12/03 18:18

KT(대표 황창규)는 5G 네트워크를 위한 엔드투엔드 네트워크 가상화 통합 제어체계 개발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기술 정식 명칭은 ‘E2E 인프라 오케스트레이터’다.

단말에서 기지국, 코어 장비까지 가상화를 통해 연결해 5G 네트워크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총괄 시스템이다. 이 가상화 제어 기술은 내년 평창 5G 시범망과 향후 구축될 5G 상용망에까지 적용할 예정이다.

5G 서비스는 자율주행, 실감형 미디어,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품질 특성과 요구사항이 있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각각의 5G 서비스별로 가상화 장비를 즉시 수요에 따라 구성할 수 있어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5G 시대엔 갑작스런 트래픽 폭주 등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의 중앙 코어망 장비를 전국 각지의 국사에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각각의 장비 운용 인력이 필수적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이 가상화 시스템을 통하면 중앙에서도 원격으로 국사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어 전국 어느 곳이나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용이 가능해진다.

전홍범 KT 융합기술원 인프라연구소장은 “이번 기술 개발로 어떤 서비스에도 최적화된 5G 네트워크 인프라를 즉시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5G 기술 개발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