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對中 적자 해법 있나…"기술·가격 협상 우위 없어"

"美 IRA·국가 신뢰도 내세워 제3의 해외 시장 공략해야"

디지털경제입력 :2024/04/19 08:55    수정: 2024/04/20 06:03

“중국 정부가 자국 산업을 보호하려는 성향이 강하다 보니 우리나라 배터리 기업들이 난항을 겪고 있는 건 사실이다. 우리나라 배터리 기업들이 중국의 어떤 분야를 '병목'으로 삼을 수 있을지 고민해봤지만, 아쉽게도 기술이나 가격 경쟁력에서 비교 우위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본다."

김준수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전임은 지난 18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대중국 수출 전략 전환 포럼’ 패널토론에서 이같이 말했다.

국내 배터리 기업 다수가 중국에 설립한 생산 기지를 두고 있고, 원자재 수입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만 현지 기업 대상 판매는 부진해 무역 적자가 발생 중이다. 이번 포럼에서는 배터리를 비롯한 반도체, 바이오 분야 등에 대한 대중 적자 문제 해결 방안이 논의됐다. 그러나 국내 배터리 기업이 중국 시장을 공략할 방안이 현재로선 마땅치 않다는 진단이다. 

지난 18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대중국 수출 전략 전환 포럼’ 패널토론 현장.(사진=지디넷코리아)

패널 토론에 앞서 발표를 맡은 조은교 산업연구원 박사는 배터리, 반도체, 바이오 등 분야에서의 대중 수출 확대 전략 방안들을 제안했다.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기술력을 갖춘 중국 기업과 차세대 배터리 등 유망 분야에서 협력해 제3국에 공동 진출하는 것을 해법 중 하나로 꼽았다.

조은교 박사는 "중국 배터리 소재 기업들이 국내에 진출해도 기술을 탈취해갈 것이란 우려는 적절치 않은 게, 이젠 중국 기업이 기술 우위를 갖는 입장"이라며 "우리나라를 첨단 제조 허브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양국 기업 간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사는 "배터리 재활용 영역에서 합작법인 사례가 있는데, 이는 중국이 주도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보다 국내 기업들이 잘하는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가 더 용이하다"며 "중국 배터리 소재 기업과 협력해 중국 또는 제3국에 진출하는 다른 모델들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는 국내 기업들이 주로 중국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지만, '한국산'으로 원산지를 두고 제품을 협력 생산해 중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 납품하는 공급망 협력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런 방안을 활용하려면 중국 기업이 국내 기업과 협력할 만한 유인책이 있어야 한다. 

김준수 전임은 그러나 배터리 분야에선 국내 기업이 의미 있는 협상 카드를 갖고 있지 않다는 입장이다. 대신 미국이 사실상 중국에 대한 무역 견제 차원에서 시행 중인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은 국내 배터리 기업의 수출 확대 전략으로 유효하다고 봤다. 

관련기사

김 전임은 "한국은 많은 나라와 동맹 관계를 맺고 신뢰를 받고 있다는 점이 중국과 다른 점"이라며 "대중 의존도를 낮추고 싶어하는 건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런 점을 활용해 국내 투자 유치를 추진하거나, 이미 시장이 포화된 전기차 외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에서 중국과 협력해 현지 시장에 진출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