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건강] 여러분 자녀는 건강합니까

소아청소년, 비만·당뇨↑…검진으로 위험요인 조기 발견·치료해야

헬스케어입력 :2024/03/12 14:25

소아청소년기 대사 및 심장질환 등 각종 질병 유병률이 높아지면서 위험요인의 조기발견을 통해 적시 치료 필요성이 대두된다. 소아청소년기의 질병은 성장을 저해하고 성인이 되어도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한비만학회의 2023 비만 팩트 시트에 따르면, 국내 소아청소년 비만율은 2012년 9.7%에서 2021년 19.3%로 10년 동안 2배 증가했다. 

교육부의 전국 초중고 소아당뇨 진단 학생 현황 자료’에서도 소아당뇨 환자 수는 ▲2021년 3천111명 ▲2022년 3천655명 ▲2023년 4월 3천855명 등으로 증가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도 10대 심장질환 환자 수가 2018년 1만210명에서 2022년 1만3천153명으로 5년 새 약 28% 늘어났다.

사진=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이를 해결코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들은 성장과 발달 사항의 기본 평가와 함께 여러 질병의 일차 예방을 위해 아이들 건강검진을 권장하고 있다. 이는 성인이 됐을 때를 대비해 예방 차원의 여러 검사로 신체·정신적 이상을 발견하고, 조기 치료로 중증 질환과 합병증으로 연결되는 것을 선제적으로 막자는 취지다.

야외활동 보다 실내 생활이 많아지며 패스트푸드의 과다 섭취, 야식 영향으로 소아청소년 비만은 갈수록 늘고 있다. 소아청소년 비만 환자80%가 성인 비만으로 이어지며 이 과정에서 당뇨병·고혈압·고지혈증 등 대사질환·심혈관질환·근골격계질환 위험도가 높아질 수 있다.

특히 당뇨병은 주로 유전적·면역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1형 당뇨병과 비교해 복합적 이유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 증가로 생기는 2형 당뇨병은 비만과 과체중 아이에게 주로 발생한다.

특히 비만으로 지방세포가 늘면 성호르몬 분비가 앞당겨져 성조숙증을 유발한다. 초기에는 키가 잘 자라는 것처럼 보이지만, 성숙이 빨라지면 성장호르몬 불균형으로 성장판이 빨리 닫혀 결국 성장 기간이 짧아지며 성인 키는 오히려 작아질 수 있다.

성조숙증은 키 성장을 촉진하는 치료를 통해 키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조기 발견과 적합한 치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전 건강검진이 중요하다.

관련기사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의 임인석 명예원장은 “자극적인 고열량 음식 과다 섭취·운동 부족·불규칙한 수면시간 등은 어릴 때부터 비만 등 여러 질병이 발생하고 있다”라며 “소아청소년기 질병은 각종 육체적·정신적 문제를 야기해 성장을 저해하는 만큼 조기 검진으로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어렸을 때 형성된 생활습관은 평생 건강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라며 “건강검진과 예방 교육을 적극 시행해 아이들의 정상적인 성장과 성인이 되어도 건강한 삶의 질을 유지하도록 부모와 의료진이 합심해 도와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