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라이트 ESG칼럼] 사라져가는 지렁이와 자연자본

전문가 칼럼입력 :2024/02/05 07:03

진양희 법무법인 디라이트 ESG지속가능센터 연구소장

 예전엔 비가 오면 바닥을 기어다니는 지렁이를 자주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보기 어려워졌다. 높은 건물의 콘크리트와 포장도로에 깔려, 트랙터 바퀴에 깔려, 살충제로 인한 토양이 오염되면서 지렁이는 점점 사라져 가고 있다. 지렁이는 농지로서 토양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꿀벌이 꽃가루를 열심히 이동시켜 인간에게 풍성한 열매를 제공하는 땅 위의 배달부라면 지렁이는 땅속을 지키는 파수꾼이다.

영국의 한 보고에 따르면 지렁이가 흙을 먹고 토해내 밭갈이를 하면 땅속에 퇴비를 묻어주는 효과가 있어 1년에 약 1조 3천억원을 아끼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 1제곱미터당 2만 5천마리의 지렁이가 폐수가 있는 흙을 먹으면 불과 15분 만에 오염물을 깨끗한 물로 만들 수 있다고 한다. 꿀벌과 지렁이가 점점 사라져 가는, 자연 생태계에 대한 우려는 비단 식량문제나 자연보호에 대한 관심 때문이 아니다. 기업 비즈니스 환경도 막대한 영향을 준다.

사람이 필요로 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만드는 과정을 기업은 상당부분 자연에 의존한다. 직접적으로 숲과 나무, 물, 토양, 금속, 가스와 같은 자연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가공된 형태의 원부자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가공하는 과정에 다량의 에너지도 사용된다. 모든 비즈니스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공급망을 통해 간접적으로 자연 자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한 컨설팅회사 보고서에 따르면 자연이 우리에게 주는 생태계 서비스 가치가 약 150달러로 세계 GDP의 두배에 달하는 규모로 예측하기도 했다. 또 세계 GDP 절반이상이 자연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중 44조달러는 잠재적으로 자연손실에 위협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이렇듯 자연이 인간에게 주는 다양한 혜택에 주목해 자연을 경제적 관점에서 평가해 일종의 자본으로 보는 개념이 '자연자본(Nature Capital)'이다.

자연자본은 크게 자연자원, 생태계서비스, 생물다양성이라는 키워드로 설명할 수 있다. 자연자원은 물, 공기, 광물, 에너지원과 같은 물리적 자원을 말하며 경제활동의 기본적인 입력물이 된다. 재생가능한 생물이나 무생물 같은 자연자원과 부존량이 유한한 화석연료, 토양, 광물 등 재생불가능한 자연자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생태계 서비스는 안정적인 생태계가 주는 효용에 집중하는데 기후조절, 영양분 순환, 토양 비옥도 유지, 수질 정화, 자연재해 완충효과 등에 도움을 준다. 전문가들은 2030년이 되면 생태계 서비스가 주는 가치가 3조 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한다. 생물다양성은 자연 자본의 개념에서 중요한 요소로 지구상에 존재하는 여러 생물 종과 그들이 살아가는 생태계, 그리고 이들 사이에 복잡한 상호작용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종다양성, 생태계 다양성, 유전다양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생물다양성 이슈는 생태계 안정성과 회복력에 기여하며 그 자체로 의약품이나 식품, 자원으로서의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다.

자연 손실은 곧 비즈니스 손실이라 할만큼 비즈니스에 있어 자연자본이 가지는 의미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데, 기후위기로 탄소 관련 규제 뿐 아니라 자연재해로 인한 비용 증가, 원자재 공급 불안으로 공급망이 악화되는 등 리스크는 더욱 가중되고 있다.

국내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 표준으로 잘 알려진 GRI(Global Reporting Standard)에서는 지난 달 생물다양성 공시에 대한 새로운 기준안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한 'GRI 101: Biodiversity 2024'는 전 세계 기업과 공급망이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을 포괄적으로 공개하도록 하고 있으며 요구하는 공시 정보는 ▲기업 공급망 전반의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사업장의 규모와 위치 등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한 위치별 영향 ▲토지 이용, 과도한 개발, 환경 오염 및 외래종 유입 등 생물다양성 손실의 직접적 원인 ▲기업 활동이 지역사회 및 원주민에 미치는 영향과 생태계 복원에 있어 지역 단체와 어떻게 협력하는지 등이다.

이 기준은 유엔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GBF), 과학기반 목표 네트워크 (SBTN), 자연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 (TNFD)와 같은 주요 생물다양성 관련 기준에 기반하고 있으며 기업 공시에 적용되는 시점은 2026년 1월 1일부터다. 특히 GRI는 환경과 인권과 같은 ESG 이슈가 기업 가치와 재무에 비치는 영향(재무적 중요성, Financial Materiality) 뿐 아니라 기업의 비즈니스 활동으로 인해 경제, 환경, 인류에 미치는 영향(지속가능성에 대한 영향, Impact Materiality)을 동시에 고려하는 ‘이중중대성(Double Materiality)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업에게 주는 메시지는 크다고 볼 수 있다.

관련기사

파리협정 이후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제사회 대처는 충분히 이루어져왔다. ESG 파도를 타고 탄소중립, RE100 같은 단어는 우리에게 친숙한 단어가 됐고, 국가 차원의 탄소감축 시나리오를 수립하고 기업들은 TCFD(기후관련 재무정보 공시) 보고서를 공개하며 기후변화를 인식하고 대응하는 중이다. 하지만 인류가 맞이하고 있는 기후위기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재생에너지로 대체한다고 해결될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기후위기를 포함해 물과 토양, 생물다양성을 포함해 무너져 가는 자연 생태계 전반을 회복하는 노력이 함께 이루어질 때 비소로 비즈니스의 지속가능성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매일 숨 쉬는 맑은 공기, 따스한 아침햇살, 푸르른 들판에서 자라나는 풍부한 먹거리는 굳이 화폐가치로 환산하지 않아도 인류에게 주어진 귀한 선물임에 틀림없다. 지금 우리가 누리는 자연자본의 혜택을 향후 50년, 100년, 그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활용하기를 원한다면 정부는 물론 기업도 자연과 생태계를 어떻게 보호하고 유지해 나갈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할 때다.

진양희 디라이트 ESG지속가능센터 연구소장

*본 칼럼 내용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ES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