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하락 출발...공매도 제한 정부 정책 주목

10일 장 종료 후 금융위 공매도 제한 세부안 발표키로

금융입력 :2020/03/10 09:36    수정: 2020/03/10 09:42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 여파와 국제 유가 하락으로 글로벌 증시가 일제히 폭락한 가운데 국내 증시도 9일 4%대로 폭락한 데 이어 10일에도 하락 출발했다.

이에 정부는 11일부터 금융 시장 안정을 위해 공매도 규제를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서 열린 관계 장관 회의에서 "시장 안정 조치로 3개월 간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 요건을 완화하고 거래 금지 기간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11일부터 변경된 요건에 따라 거래를 제한하겠다"고 말했다.

9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경.(사진=뉴스1)

공매도는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의 주식을 빌려서 팔고 실제로 주가가 내려가면 싼 값에 다시 사들여 빌린 주식을 갚아 차익을 남기는 투자 기법이다. 공매도는 차익 실현을 위해 주가가 떨어져야 하는 만큼 주식 시장을 끌어내리는 원인으로 지목돼 왔다.

공매도 규제 강화 세부안은 금융위원회가 이날 시장 종료 후인 오후 3시 30분에 발표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과열종목 지정 요건이 더 까다로워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거래소는 당일 공매도 비중과 당일 주가 하락률, 공매도 거래 대금 증가률, 직전 40거래일 전 공매도 비중 평균에 따라 공매도 과열 종목을 지정하고 관리한다.

관련기사

한편, 공매도 금지 목소리는 일본 수출우대국가 명단(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와 미·중 무역분쟁 등이 있었던 2019년 8월에도 나왔으나 실행되진 않았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8년, 한국 정부는 2008년 10월 1일부터 공매도를 제한했으며 2011년에도 3개월 간 한시적으로 공매도 금지 조치가 적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