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정부가 삼성전자 임직원 입국과 스마트폰을 이란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금지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삼성전자가 미국 제재를 피하기 위해 이란 시장에서 서비스를 축소하는 데 따른 조처다.
18일(현지시간) 모하마드 자파르 나낙카르 이란 정보통신부 법무국장은 이란 국영 프레스TV에 "삼성전자에 대한 일련의 조처가 준비됐다"고 전했다. 이는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전용 앱인 갤럭시 스토어 서비스를 이란에서 제한한 사실이 알려진 이후 발표됐다.
현재 이란에서는 갤럭시 스토어 유료 앱 서비스가 중단됐다. 내달부터는 무료 앱도 중단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중동 일부 언론은 삼성전자가 이달 말부터 이란에 스마트폰을 수출하지 않기로 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나낙카르 국장은 "삼성전자에 이란 사용자들을 위해 갤럭시 스토어 앱 판매 금지를 개정할 것을 촉구했다"며 "만일 변화가 없을 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법적 방법이 있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토어 서비스 제한으로 현지 앱 개발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삼성전자가 서비스 제한을 풀지 않을 경우 화웨이, 샤오미와 같은 중국 업체들과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는 말도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연간 출하량 규모가 1천만대 수준인 이란 스마트폰 시장에서 절반 가량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기사
- 삼성 파운드리서 퀄컴 '스냅865+' 양산하나2020.02.19
- 삼성전자, '갤럭시Z플립' 제조 영상 공개2020.02.19
- 美 화웨이 제재에 프랑스 이탈…“차별 안 한다”2020.02.19
- 힘 못쓰는 美 화웨이 제재…유럽 국가 속속 이탈2020.02.19
또 삼성전자는 2018년 8월 복원된 미국의 대이란 제재로 핵심 부품 수입이 극히 제한되면서 지난해 말부터 현지 조립 생산을 사실상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예드 압바스 무사비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지난 12일 "미국 제재에 동참해 이란을 떠나는 외국 회사가 이란으로 되돌아오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