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기온 오르면 감염률 낮아질 것”

지역사회 전파 방지 초점 맞춰야…사전 대응체계 강화도 필요

과학입력 :2020/02/05 17:06    수정: 2020/02/06 06:56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비롯한 일반적인 바이러스는 주변 기온이 높아질수록 생존에 분리해진다. 날씨가 따뜻해지고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임계치까지 낮아지면 전체적인 감염률은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5일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개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처방안’ 토론회에 참석한 이종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는 이같이 말했다. 이종구 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 폐렴)의 확산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확답하긴 어렵지만, 기온이 오르면서 자연스레 사라진 사스 바이러스와 모습을 보일 수 있다는 뜻이다.

이종구 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외피막을 가진 바이러스로, 가까운 상태에서 전파되도록 진화된 탓에 숙주 사이가 멀면 감염력을 잃는다”며 “이 과정에서 주변 기온이 높아지면 생화학적 반응이 유리해지고, 바이러스의 생존에는 불리해진다”고 설명했다.

5일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개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처방안’ 토론회 현장 모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유사한 것으로 알려진 사스 바이러스의 경우, 겨울부터 여름까지 약 6개월간 지속됐다. 사스 바이러스의 사례에 비춰볼때, 신종 코로나 역시 기온이 높아지는 4월 이후 확산세가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전문가들은 신종 코로나가 한풀 꺾일 때까지, 전염병이 지역사회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막는데 전 부처의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신종 코로나, 지역사회 전파 방지가 최선

현재까지 집계된 확진자는 중국이나 싱가포르 등 인접 국가에서 감염됐거나, 감염자와 직접적인 접촉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직 지역사회로 전파됐다고 보기 어렵다. 전문가들은 현재가 전염병 확산을 막는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혁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이전 메르스와 달리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전에 전파를 방지해야 한다”며 “초기에는 중국만 관리하면 됐지만 이제는 언제 어디로 확산될지 예측이 어려운 만큼, 현재 방역시스템이 놓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진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진=픽사베이)

이를 위해 우리 정부는 신종 코로나 진단 키트를 전국에 확대할 방침이다. 앞서 질병관리본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4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실시간 유전자 증폭검사 키트'의 긴급사용을 승인하고, 민간 병원으로 보급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혁민 교수는 “세계 최초로 우리나라가 개발한 진단 키트가 오는 7일부터 전국 40~50개 민간 의료기관으로 확대될 것”이라며 “진단이 확대되면 확진자가 더 나올 수 있는데, 이는 지역사회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리스크가 줄어드는 것인 만큼 긍정적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진단 키트 보급이 확대될 수록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의심 환자의 범위도 넓어진다. 이재갑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는 “기존에는 시약이 부족한 탓에 우한 방문자를 대상으로 우선 검사를 실시했지만, 시약 공급이 확대되면 중국 전역 방문자를 대상으로 검사가 이뤄질 것”이라며 “중국 외 국가 방문자를 대상으로 검사 대상을 확대할지 여부는 질병관리본부와 논의 중이며, 7일께 결정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끝나지 않는 신종 감염병…대응체계 강화 필요

전문가들은 신종 코로나 이후에도 다양한 신종 전염병이 등장할 수 있는 만큼, 사전 대응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부하령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는 “신종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백신을 찾고 개발하기 위해서는 평상시 R&D 노력이 전제돼야 한다”며 “백신을 개발하고 비축해 놓는 것이 중요하며, 신속하게 쓸 수 있도록 정부의 결정 체계를 개선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새로운 방식의 백신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부하령 박사는 “현재까지는 바이러스의 증식을 저해하는 치료제를 개발했지만, 앞으로는 바이러스가 숙주의 면역 시스템을 회피하지 못하도록 막는 치료제가 개발돼야 한다”며 “바이러스 자체만 볼 것이 아니라 숙주의 면역상태 생각한다면 새로운 백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의 지도상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는 '코로나맵'이 지난달 30일 공개됐다. (사진=코로나맵 사이트)

정부와 민간 학회의 협업이 신종 바이러스 확산 방지에 핵심이라는 조언도 나왔다.

관련기사

이주실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연구개발 사업단장은 “신종 감염병이 발생하면 민간학회가 감염병 관련 연구에 어떤 내용을 추가할지 정리하고 이를 관련 부처와 논의해서 진전을 거둬야 한다”며 “감염병 환자가 발생하면 정부는 환자에 대한 조치를 취하고, 관련 학회가 새롭게 발생하는 상황에 대해 집단지성으로 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혁민 교수는 “신종 감염병에 대한 연구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학회별 특성에 맞는 연구가 시급하다”며 “가령 대한감염학회는 치료법을, 예방의학학회는 바이러스가 어떻게 변화할지 거시적인 모델링 예측을, 진단학회는 전염병 진단 방법이 발전될 수 있도록 각각 연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