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아웃이나 회생절차를 밟아야 하는 부실 징후 중소기업이 작년과 비교해 21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12일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이 2019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대상 3천307여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부실 징후 중소기업은 201개로 작년 180개 대비 21개 증가했으며, 대기업은 작년 10곳에서 9곳으로 1개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신용위험평가는 대기업의 경우 신용 공여 500억원 이상, 중소기업은 신용 공여 500억원 미만인 곳이 받는다.
부실 징후 기업은 세부 내용에 따라 달라질 순 있지만 워크아웃을 진행해야 하는 C등급과 회생절차를 밟아야 하는 D등급으로 구분된다. 부실 징후 중소기업 중 C등급은 56개로 작년(48개)와 비교해 8개 늘었고, D등급도 작년(132개)보다 145개로 13개 늘었다. C등급 대기업은 5곳에서 3곳으로 2개 줄었고, D등급은 5개에서 6개로 한 곳 증가했다.

금감원 신용감독국 측은 "대기업은 주요 업종 구조조정이 마무리 됨에 따라 부실 징후 기업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은 실적이 소폭 하락한 가운데 세부 평가 대상 기업 수가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면서 부실 징후 기업 수도 늘었다"고 설명했다.
올해 신용위험평가 세부 평가를 받는 중소기업 수는 작년 2천321군데에서 2천708군데로 387곳 늘었다. 반면, 대기업은 같은 기간 631군데에서 599군데로 32곳 줄었다. 금감원 김남태 신용감독국 팀장은 "은행들이 중소기업 대출을 늘리면서 세부 위험 평가 대상인 중소기업이 대폭 늘어난 경향이 있다"고 부연했다.
외부 감사를 받는 중소기업의 2017년 영업이익률은 6.4%에서 2018년 5.9%로 다소 줄었다. 또 영업이익 대비 이자비용을 나타내는 이자 보상 배율도 3.4배에서 2.8배로 감소했다. 김 팀장은 "중소기업의 경영 여건이 전년 대비 나빠졌음을 볼 수 있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업종별로는 기계장비 부문이 35개사, 부동산이 19개사, 자동차 부품과 금속 가공이 각각 17개, 도매 및 상품 중개 부문 14개사로 집계됐다.
부실 징후 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3조3천억원이며 은행권이 72.7%인 2조4천억원을 보유하고 있다. 올해 9월말 기준으로 대기업의 신용공여액은 1조1천억원, 중소기업은 2조2천억원이다.
관련기사
- 우리종합금융, 모태펀드 위탁운용사에 첫 선정2019.12.12
- 은행, 50조원 범위 안에서 ELT 판매 계속 가능2019.12.12
- 은성수 "금융위 희망과 은행 현실 조정하는 자리"2019.12.12
- 농협은행,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고도화2019.12.12
이번 신용위험평가로 부실 징후 기업 여신에 대한 자산건전성 재분류 시 은행권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예상액은 약 1천735억원이다. 대기업에 대한 대손충당금이 693억원, 중소기업은 1천42억원이다. 만약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시 국내 은행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 비율은 0.01%p 하락할 것으로 추측된다.

금감원은 부실 징후인 C·D등급으로 선정된 기업들에 대해 워크아웃과 회생절차 등 신속한 경영정상화와 부실 정리를 유도하고, 부실 정리를 신청하지 않은 기업에 대해 사후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