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신차 절반은 친환경차…올해 70% 넘는다

전기·수소전기차·하이브리드가 전체 56.5% 차지

디지털경제입력 :2019/12/10 11:22

정부가 공공분야 친환경차 비중 높이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오는 2022년까지 전기차 누적 43만대, 수소전기차 누적 6만5천대 목표 달성에 공공분야가 마중물이 돼야한다는 뜻에서다.

1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분야 신규 차량 절반 이상이 전기·수소전기차와 하이브리드(HEV) 등 친환경차인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비중은 70% 이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301개 평가대상기관에서 구입한 신규차량 4천356대 가운데 친환경차는 총 2천461대로 집계됐다.

전기·수소전기차는 1천474대, HEV는 987대였다. 이들 차량의 비중은 전체 신규 차량의 56.5%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도인 2017년(50.2%)에 비해 친환경차 구매비중이 6.3%p 늘어난 것이다.

기관별로는 우정사업본부가 23대 전량을 전기차로 구매해 중앙행정기관 중 유일하게 친환경차 구매비율 100%를 달성했다. 또 제주도청은 구매차량 44대 전량을 전기차로 구매했고, 한전KDN은 신규 차량 75대 중 전기·수소전기차 56대, HEV 7대를 구매했다.

중간점검 결과 올해 실적은 지난해 대비 크게 개선될 것으로 산업부는 내다봤다. 총 211개 평가대상기관의 친환경차 잠정 구매대수는 4천117대(전기·수소전기차 2천344대, HEV 1천773대)로 예상된다. 지난해에 비해 구매비율이 약 15%p 내외 상승할 전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내년 초 1천200개 기관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해 내년 상반기 중에 최종 구매실적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쉐보레 볼트 EV가 전기차 공공 급속충전기에서 충전되고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산업부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 국내 전기차 보급은 2016년 대비 7배 이상, 수소전기차의 국내 보급은 2016년 대비 45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공공분야 친환경차 구매는 지난해 전기차·수소전기차 누적 판매량의 약 10%를 책임지면서 친환경차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도 이에 발맞춰 공공분야 친환경차 의무구매비율을 지난해 50%에서 70%로 상향 조치했다. 산업부는 ▲기관별 구매 실적에 대한 피드백 강화 ▲2021년 이후 의무구매비율의 100% 상향(현재 70%) ▲의무구매대상을 승용차에서 버스·트럭 등 상용차로 확대 등의 제도 개선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산업부는 이날 서울 강남구 GS타워에서 '2019년 공공분야 친환경차 의무구매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지난 2016년부터 매년 공공분야 1천200여개 기관을 대상으로 일정비율 이상의 친환경차를 의무적으로 구매토록 하는 '공공분야 친환경차 의무구매제도'를 시행 중이다.

관련기사

이날 행사는 공공분야 차량 구매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현대·기아차, 한국GM, 르노삼성 등 완성차 업체의 친환경차 모델을 소개하고 구매를 상담하는 자리로 꾸려질 예정이다.

최남호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관은 "올해 친환경차 구매실적을 비롯해 각 기관들이 법적 의무구매기준을 차질없이 이행할 수 있도록 산업부에서 적극 안내하고 실적을 관리·지원할 계획"이라며 "관계부처와 함께 친환경차 충전인프라도 빠르게 확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