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손정의 AI 펀드에 200억원 출자

AI·빅데이터 기술 경쟁력 강화해 DT 가속화

디지털경제입력 :2019/11/26 11:14    수정: 2019/11/26 16:04

LG가 AI 기술 개발과 투자를 통해 그룹 전사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가속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육성 펀드에 참여하고 그룹 통합 AI 개발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LG는 26일 벤처캐피탈인 소프트뱅크벤처스와 손을 잡고 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글로벌유망 AI 스타트업 발굴 및 투자에 나섰다고 밝혔다.

LG전자, LG화학, LG유플러스, LG CNS 등 4개 계열사가 소프트뱅크벤처스가 AI 분야에 집중 투자하기 위해 조성중인 약 3천200억원 규모의 펀드(Growth Acceleration Fund)에 200여억원을 공동 출자키로 결정했다.

구광모 ㈜LG 대표이사 회장.(사진=LG)

LG 측은 "이번 투자를 통해 국내외 유망 AI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협업 기회를 모색함으로써 오픈 이노베이션을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와 별도로 미래 준비와 기존 사업 역량 강화를 위해 5천억원을 출자해 미국 실리콘밸리에 설립한 벤처캐피탈인 LG테크놀로지벤처스를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LG는 이날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AI, 빅데이터 최신 기술 트렌드를 공유하는 'AI·빅데이터 토크 콘서트'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는 안승권 LG사이언스파크 대표 등 경영진과 AI, 빅데이터 업무관련자 600여명이 참석해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고객의 구매 패턴을 분석하고 구매 성향을 예측하는 기술, 제조분야에서 불량 제품을 검사하는 기술 등 최신 트렌드에 대한 정보를 나누고 활용 방안을 모색했다.

LG는 이날 국내 대기업 중 처음으로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기반으로 다수의 그래픽 처리장치(Multi GPU) 활용이 가능해져 딥러닝 작업 시간을 30% 이상 단축시킬 수 있는 AI 개발 인프라를 공개했다.

LG는 26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AI, 빅데이터 최신 기술 트렌드를 공유하는 'AI, 빅데이터 토크 콘서트'를 진행했다.(사진=LG)

AI 경쟁력은 얼마나 많은 양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는지와 최신 알고리즘(소프트웨어) 및 빠른 연산 속도를 가진 컴퓨터(하드웨어)와 연관되어 있다. 특히, 빠른 연산 속도를 자랑하는 그래픽 처리장치(GPU)는 최근 정보통신, 생명공학 등 미래 성장동력분야의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슈퍼컴퓨터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관련기사

LG는 개발자들이 손쉽게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직접 코딩을 하지 않더라도 마우스 클릭 등으로 화면에 있는 메뉴를 선택해 작업할 수 있도록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적용했다. 또 AI 개발 인프라를 통해 계열사 간 AI와 빅데이터 알고리즘을 공유해 개발자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한편, 아마존, 구글 등과 협업하는 등 오픈 이노베이션도 활발히 추진할 계획이다.

안승권 LG사이언스파크 대표는 "기존의 틀을 깨고 차별화 된 고객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AI 기술 개발과 투자를 통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의 기반을 다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