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아세안 기업인 700여명이 한 자리에 모인 ‘한·아세안 CEO 서밋’이 25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막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아세안 6개국 정상들도 이번 행사에 참석해 기업인을 격려했다.
한·아세안 CEO 서밋은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통상자원부가 한국과 아세안의 ‘대화관계’ 수립 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공동으로 주최했다. 한국에서 한·아세안 정상들과 주요 기업인들이 한자리에 모이기는 2014년 부산에서 개최된 제2차 한·아세안 CEO 서밋 이후 5년 만이다.
문 대통령은 행사 기조연설을 통해 "한국은 아세안의 친구를 넘어서 아세안과 함께 성장하는 공동체가 될 것"이라며 "아세안의 발전이 한국의 발전이라는 생각으로 언제나 함께해나갈 것이다. 상생번영의 미래를 우리가 함께 만들어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또 올해 아세안 의장국인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가 축사를,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마하티르 모하맛 말레이시아 총리, 아웅산 수찌 미얀마 국가고문이 세션별 특별연설, 차기 아세안 의장국인 베트남 응우엔 쑤언 푹 총리가 폐회식 특별연설을 맡았다.

한국 기업인으로는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을 비롯해 윤부근 삼성전자 부회장, 황각규 롯데지주 부회장, 공영운 현대자동차 사장, 송대현 LG전자 사장, 김준 SK이노베이션 사장, 장재영 신세계 사장 등 450여명이 참석했다.
아세안 측에서는 베트남 팜딘도안 푸타이그룹 회장, 싱가포르 더글라스 푸 사카에홀딩스 회장, 미얀마 페표 테자 투그룹 회장 등 250여명이 참석했다.
박용만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쉽지 않은 글로벌 경제 지형 속에서도 아세안은 가장 밝게 빛나는 지역”이라며 “한국과 아세안이 긴밀히 협력해서 글로벌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역내에 번영된 미래를 함께 앞당길 수 있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그는 "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한?메콩 정상회의는 한국과 아세안의 협력을 한층 끌어 올릴 대단히 중요한 계기"라며 "산업단지 설립, 기술 표준화, ODA(공적개발원조)와 역량 개발 지원에도 진전이 많길 바라며 특히,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이 서둘러 발효될 수 있게 각국의 관심을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또 “한층 높아진 대외 불확실성에 직면해 기존의 글로벌 가치 사슬이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면서 “민간 채널을 활용해서 교류를 돕고, 관련 산업 발전과 기술 개발 등 아세안의 가치사슬 편입을 돕는 일에 경제단체들이 더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적인 투자가 짐 로저스 비랜드 엔터프라이즈 회장은 CEO 서밋에서 “드라마틱한 변화가 일어나는 아시아에서 한국은 앞으로 가장 흥미로운 곳이 될 것”이라며 “아세안은 새로운 무역 루트와 시장으로 발전해 세계의 번영을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막..文 대통령 "FTA 확대하겠다"2019.11.25
- "韓, 중견국 외교전략 필요"…대한상의 '경영콘서트' 개최2019.11.25
- 한-아세안 기업인 집결…부산서 CEO 서밋 개최2019.11.25
- 대한상의, ‘일하기 좋은 중소기업’ 639개 선정·발표2019.11.25
짐 로저스는 “일본은 정점을 찍은 뒤 쇠퇴중인데 반해 한반도는 북한의 자원·노동력과 남한의 자본·제조업이 결합하여 경제 부흥을 이끌 것”이라며 “일대일로,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잇는 동서의 철길이 재건되면 한반도는 글로벌 교통의 허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아세안 지역 개발로 새로운 교통루트가 창출되고 있다”며 “풍부한 자원, 낮은 부채, 6억명의 엄청난 인구를 가진 아세안은 새로운 리더로 부상하고 동북아시아와 함께 세계의 번영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