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2030년까지 국내 경제에 630조원 파급 효과"

[ATS 2019] 박현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장

컴퓨팅입력 :2019/11/14 18:00    수정: 2019/11/14 23:31

"인공지능(AI)이 국내에서 오는 2030년까지 최대 630조원의 경제효과를 발생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중 70%인 465조원이 직, 간접적으로 GDP 성장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박현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 소장은 14일 지디넷코리아가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아시아테크서밋(ATS) 2019'에서 "우리가 사이버 세상의 주인이 되려면 인재 양성과 함께 AI를 좀더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도입해야 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박 소장은 이날 'AI가 여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을 했다. 그에 따르면 AI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막대하다. 오는 2030년까지 신규 지능화 산업을 통해 240조원, 기존 산업활동 개선으로 390조 원의 파급 효과가 있을 전망이다. 산업별로는 의료와 제조가 150조 원으로 가장 높다. 이어 도시(105조 원), 금융(80조 원) 순으로 파급 효과가 예상됐다.

빅데이터와 AI 플랫폼을 보유한 글로벌기업이 세계 산업을 주도하는 등 시장은 이미 AI 중심으로 전환했다. 시장 가치가 높은 세계 기업 1~5위는 데이터와 AI 관련성이 높은 기업이다. 박 소장은 "최근 시장가치 10억 달러 이상 스타트업(유니콘기업)중 AI 기업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AI 산업은 성장 및 자금 투자도 주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AI와 일자리 변화도 관심사다. AI가 일자리를 줄이지만 반대로 새로 만드는 일자리도 많다. 박 소장은 4차산업혁명위원회 자료를 인용해 "한국은 지능화로 2030년까지 700만개 일자리가 감소하는 반면 약 730만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는 2017년 내놓은 보고서에서 AI자동화로 2030년까지 세계적으로 4억~8억 개의 일자리가 줄어드는 반면, 기술혁신으로 5.5억~8.9억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견한 바 있다. 박 소장은 "일자리가 나라별로 균등하게 늘어나는 게 아니다"며 "AI에 어떻게 대응하는 냐에 따라 일자리가 늘어난다. 세계적으로 늘어나는 일자리가 우리 일자리가 될지 해외 일자리가 될지 모른다"며 경각심을 던졌다.

박현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장이 강연을 하고 있다.

박 소장은 AI가 사회적, 지구적 문제 해결에 활용된다면서 ITU 사례를 소개했다. ITU는 2017년부터 'AI for Good Global Summit' 프로그램을 운영, UN의 지속 발전을 위한 AI활용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민간 기업도 AI의 사회적 활용을 위한 자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구글이 2018년부터 시작한 'Google AI impact' 공모전에는 119개국에서 2602개 앱이 응모했다.

박 소장은 AI 역기능을 언급하며 "AI가 광범위하게 응용 됨에 따라 위험요인과 역기능 이슈가 발생했다"며 "이에 대한 기술적, 제도적 보완 노력이 수반되야 한다"고 지적했다.

맥킨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AI 대응도는 1그룹인 미국과 중국에 이어 2그룹에 속한다. 맥킨지는 41개 국가의 AI 도입 준비 수준을 투자, 연구개발, 자동화 생산성, 디지털 응용, 혁신 기반, 인적자원 등 8개 척도로 평가, 4개 그룹으로 분류했다. 박 소장은 "우리나라는 영국, 일본 등 17개국과 함께 2그룹"이라며 "우리나라는 자동화 생산성과 혁신 기반이 우수한 점수를 받았다"고 소개했다.

박 소장은 대부분의 AI 신기술이 미국에서 만들어지는 등 세계 최강 AI 국가는 아직 미국이라고 진단했다. 실제, 미국은 우수 논문에서도 부동의 1위고, 세계 인재 절대 다수도 미국 기업에 있다. 캐나다 엘리먼트AI에 따르면 AI인재 50% 이상이 미국 기업에 몰려 있다. 미국은 특허에서도 월등히 많다. 또 1만개 이상의 스타트업 보유도 세계 최다고, 미국내 168개 대학에서 AI를 연구하고 있다고 박 소장은 설명했다.

중국 추격도 만만치 않다. 중국은 "2030년에 AI 세계 최고 혁신국가로 부상하겠다"는 야심을 갖고 있다. 스마트 제조, 스마트 의료, 스마트시티, 스마트 농업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AI를 활용할 계획이다.

여기에 국가R&D 투자가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다. 박 소장은 "미국은 과학자가 AI를 리드하지만 중국은 데이터로 승부한다"며 중국의 AI 부상을 내다봤다.

그가 이끌고 있는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AI에 관한 보고서를 정기적으로 내놓고 있다. 올해 내놓은 AI 인력 수급 전망에 따르면, 향후 5년간(19~23년)간 1만 8000 이상의 AI 인재가 부족하고, 부족한 인재의 96%가 중급(8818명)이다. 고급(8649명) 인재도 상당히 부족하다.

박 소장은 "우리 연구소가 세계 AI 고급 인력 500명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7명에 그쳤다"면서 "하지만 한국은 AI 특허면에서는 2004년부터 2014년까지 약 6만 3천여 건으로 일본과 동등 수준이며 2004년 대비 2014년 AI 특허가 약 5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기술별 우리나라 특허 비중을 보면 데이터 전송이 21.9%로 가장 높고 이어 음성 분석 12.6%, 이미지 분석 11.6%, 수학모델 알고리즘 6.1% 순을 차지했다.

박 소장에 따르면 우리나라 AI 스타트업 기업 수는 42개로 세계 12위 수준이다. 반면 우리나라의 유니콘 수는 10개로, 세계 5위 수준이다.

박 소장은 AI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상당하다고 강조했다.

박 소장은 AI에 필요한 초중등 수학교육과 SW 교육 시간이 부족하다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우리나라는 2018년 이후 초중등 SW 교육이 필수로 지정됐지만 경쟁국가에 비해 매우 부족한 편이다. 여기에 교육부가 10차 개정 수학 교육과정에서 AI와 밀접한 선형대수(행렬, 벡터)를 제외했다. 박 소장은 "이런 환경에서는 AI 천재가 나올 가능성이 낮다"며 "또 하나의 숙제"라고 아쉬워했다.

관련기사

박 소장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월말 언급한 AI발표를 소개했다. 당시 문 대통령은 인공지능 활용 일등국민을 강조하며 "마음껏 상상하고, 함께하고, 도전할 수 있는 마당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AI와 SW와 관련한 정책보고서를 내놓으며 AI강국과 SW강국을 측면 지원하고 있다. 박 소장은 AI 연구 역량 국가별 비교 분석, 글로벌 기업의 AI 연구 역량 분석 등 연구소가 수행한 활동을 소개하며 "지난 수십년간 숨가쁘게 달려와 세계 10위권 나라가 됐다. 이제 숙제는 AI사회를 어떻게 만들지, 또 얼마나 빨리 효과적으로 달성할 지"라며 중지를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