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미래 선점하자"...세계적 AI 석학과 만남

세계 4대 AI 전문가 요슈아 벤지오 교수 등과 대화

디지털경제입력 :2019/11/06 15:02    수정: 2019/11/06 15:07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차세대 먹거리인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승기를 잡기 위해 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이 분야에서 세계적인 석학들과도 만남을 갖고 전략 수립에 매진하고 있다.

6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재용 부회장은 이날 AI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요슈아 벤지오(Yoshua Bengio) 몬트리올대 교수, 세바스찬 승(Sebatian Seung, 한국명 승현준) 프린스턴대 교수와 만나 미래 AI 산업 발전 방향과 삼성전자의 AI 전략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이 부회장은 "더 큰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생각의 한계를 허물고 미래를 선점해 가자"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딥러닝 관련 AI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요슈아 벤지오 교수는 제프리 힌튼(Geoffrey Hinton) 토론토대 교수, 얀 러쿤(Yann Lecun) 뉴욕대 교수, 앤드류 응(Andrew Ng) 스탠포드대 교수 등과 함께 AI 분야 세계 4대 구루(Guru)로 꼽히는 인물이다.

벤지오 교수는 차세대 음성인식 성능 혁신을 위한 신경망 네트워크(Recurrent Neural Network) 설계 및 학습 알고리즘 개발 분야의 권위자로, 2018년에는 컴퓨터 과학 분야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튜링상(Turing Award)'를 수상하기도 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왼쪽 두번째)과 전자 관계사 사장단은 1일 화성사업장에 모여 글로벌 경영환경을 점검하고 대책을 논의했다.(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는 2017년 몬트리올에 인공지능랩을 설립해 벤지오 교수와 공동으로 영상·음성 인식, 자율주행 등 AI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으며, 벤지오 교수는 4~5일 양일간 열린 '삼성 AI 포럼 2019'에 연사로 참여해 메타 러닝과 강화 학습 등 딥러닝 분야의 핵심 기술을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딥러닝에 의한 조합적 세계 이해'라는 주제로 메타 러닝과 강화 학습 등 인공지능 에이전트가 세계를 이해하기 딥러닝 분야 핵심 기술들을 제안했다.

세바스찬 승 교수는 뇌 활동을 모방한 뇌 신경공학 기반 인공지능 연구를 개척한 세계적 석학으로, 2018년부터 삼성리서치 CRS(Chief-Research-Scientist)를 겸직하며 삼성의 AI 전략 수립과 선행연구에 대한 자문을 맡고 있다. 지난 9월에는 삼성전자뉴스룸을 통해 인공신경망과 로봇 기술의 결합이 일상을 혁신적으로 바꿀 수 있다고 전했다.

이재용 부회장은 지난해 경영 활동을 재개한 직후부터 유럽, 북미 등으로 출장을 다니며 글로벌 석학들을 만나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사회의 변화상과 미래 기술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핵심인재 영입에도 직접 나서고 있다.

관련기사

지난 9월에는 삼성리서치를 찾아 AI 등 선행기술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기술로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야 한다"며 "철저하게 준비하고 끊임없이 도전해 꼭 해내야 한다"고 AI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해 AI, 5G, 바이오, 전장용 반도체 등을 4대 핵심 미래 성장사업으로 선정하고, 약 25조원을 투자해 육성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특히 AI 분야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까지 한국, 미국, 영국, 러시아, 캐나다 등 5개국에 AI 연구센터를 설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