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미래차 전략 공개...플라잉카 2025년 실용화

자율차는 2027년 상용화, 전기차 충전기 1만5천기까지 확대

카테크입력 :2019/10/15 16:00    수정: 2019/10/15 16:07

정부가 완전 자율주행차보다 하늘을 나는 플라잉카를 먼저 실용화하는 방안의 미래차 산업 3대 발전 전략을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공개했다.

오는 2030년 미래차 경쟁력 1등 국가를 목표로 하는 이번 전략은 크게 ▲친환경차 세계 시장 선도 ▲자율주행차 미래시장 선점 ▲미래차 서비스시대 준비 ▲미래차 생태계 조기 전환 등으로 나눠진다.

눈여겨 볼 점은 정부의 플라잉카의 실용화 목표 시기가 완전 자율주행차 상용화 시기보다 2년 앞선다는 점이다.

정부는 플라잉카 실용화 시기를 오는 2025년으로 목표했고, 완전 자율주행차 상용화 목표 시기를 2027년으로 잡았다. 완전 자율주행차 상용화 목표 시기는 기존 2030년에서 3년 단축된 2027년이지만, 플라잉카 실용화 시기보다 2년 늦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5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미래차 산업 전략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1조5천억달러 플라잉카 시장 활성화 나선 정부

플라잉카는 남녀노소 모두의 이동시간을 단축시킬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미국의 투자은행 모건스탠리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플라잉카 또는 글로벌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 시장은 오는 2040년까지 약 1조5천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우선 2022년까지 플라잉카 전용도로 확보와 자동 경로 설정 기능 등의 기반 기술을 만들어낼 계획이다. 또 2023년까지 플라잉카 개발을 위한 고출력 모터 기술 확보를 마무리하고, 안전기준을 개정한다. 또 2025년까지 시범운행 등 안전성 실증을 거쳐 여객서비스 활성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이미 플라잉카 개발을 위한 자체 사업 개발에 나서고 있다.

한국전기연구원이 30일 소개한 도심개인이동 수단 '플라잉카' 개념도 (사진=지디넷코리아)
정부가 전한 플라잉카 활성화 방안 (사진=정부 자료 캡처)

현대차그룹은 지난달 30일 도심용 항공 모빌리티 핵심기술 개발과 사업추진을 전담하는 ‘UAM사업부’를 신설했다. 이를 위해 현대차그룹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 항공총괄본부 본부장 출신 신재원 박사를 사업부를 담당하는 부사장으로 선임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연구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은 최근 항공전기차와 지상전기차가 서로 연결돼 도심 주행이나 항공 주행이 자유로운 개인이동 수단 솔루션을 공개했다. 관련 기관과 협력해 제대로 된 플라잉카 개발에 기여하겠다는 뜻이다.

한국전기연구원은 자체적으로 개발해온 전기차 충전 기술과 플라잉카 기술 등을 융합시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전기차 충전 솔루션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항공전기차의 경우 자율주행 기능을 넣는다는 계획도 전했다.

정부가 전한 미래차 국가 비전도 (사진=지디넷코리아)

■2024년 자율주행차 제도 완비, 2027년 상용화

정부는 2030년으로 추진했던 완전 자율주행차 상용화 시기를 2027년으로 3년 앞당겼다. 레벨 3 수준의 자율주행 단계에서 레벨 4 자율주행 단계로 넘어가는 단계적 접근보다, 레벨 3와 레벨 4의 자율주행 단계를 동시에 전환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레벨 3와 레벨 4는 완전 자율주행 유무의 차이가 있다. 레벨 3급 자율주행 차량은 특정 도로에서 운전자 개입 없이 운전할 수 있지만, 레벨 4는 도로 조건 상관없이 자동차가 스스로 주행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두 자율주행 등급의 공통점은 돌발 사태에 대비할 내부 탑승객 또는 운전자가 자리했다는 점이다.

정부는 우선 2024년까지 완전 자율주행 제도와 인프라 구축에 나서겠다는 뜻을 전했다. 다른 나라가 이 때까지 자율주행 제도와 인프라 구축에 나서지 않는다면, 이같은 계획이 전 세계 최초가 될 것이라는게 정부 관계자 측 설명이다.

정부는 “자율주행 기능 중 우리 강점인 반도체 기술 기반을 활용하면 주위 환경 인지 센서 등을 국산화할 수 있게 된다”며 “빠른 기술력 제고가 필요한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 분야는 국제협력으로 확보하겠다”라고 전했다.

정부는 또 센서 중심의 독립형 자율주행차와 통신 기술을 활용한 커넥티드형 자율주행차 활성화도 동시에 이뤄나간다는 계획도 전했다.

언맨드솔루션 '위더스' 자율주행셔틀 (사진=지디넷코리아)

■친환경차 보조금, 전비 중심으로 개편

이날 미래차 전략에는 전기차와 수소전기차 등 친환경차 전략도 동시에 발표됐다.

우선 정부는 2030년까지 초소형차, 승용차, 소형트럭, 대형트럭, 버스 등 모든 차종에 친환경차 파워트레인을 더하기로 했다. 이는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수소전기차 등 한 가지 이상을 각 차종에 추가시키겠다는 뜻이다.

전기차와 수소전기차 구매 보조금 지원제도는 2021년까지 큰 변화 없이 유지될 전망이다. 금액은 줄어들지만, 보조금 지원 가능대수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강릉종합운동장에서 급속충전중인 기아차 니로 EV 전기차 (사진=지디넷코리아)

정부는 2022년부터 전기차, 수소전기차 등의 미래차 경쟁력을 감안해 2022년 이후 보조금 제도를 어떻게 운영할지에 대한 검토 작업에 착수한다. 우선 기본 계획은 ‘전기차 연비’를 뜻하는 전비에 따라서 보조금이 차등 지급될 계획이다.

정부는 또 수소 가격이 수소유통비 절감으로 2030년까지 8천원 내외였던 가격이 절반 이상 인하될 것으로 봤다. 수소충전소는 2030년까지 660기를 설치하고, 수소충전소는 2030년까지 20분 이내에 도달 가능하도록 전략을 수립하겠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전기차 충전기의 경우, 현재 5천427개 규모의 급속충전기 수가 올해 연말에는 5천800기로 늘어난다. 또 2022년에는 1만기, 2025년에는 1만5천기가 될 예정이다. 공동주택, 주유소, 고속도로 휴게소 등 주요 거점 등을 중심으로 매년 1천500기 이상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미래 자동차 전략 브리핑을 직접 맡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번 전략은 실용화와 상용화 시기를 조절하고 구체화하는데 초점을 맞췄다”며 “앞으로 미래차 시장은 자율주행차 서비스, 수소전기차, 전기차 등이 주도해나갈 것”이라고 자신했다.

수소충전기와 연결된 현대차 넥쏘 (사진=지디넷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