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올해 추가경정예산(추경)에서 확보한 국고 73억원을 전국 지자체에 지원해 연말까지 노후 하수관 3천103킬로미터(km)를 정밀조사한다고 16일 밝혔다.
정밀조사 대상은 부산광역시 등 26개 지자체의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 하수관로다.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 하수관의 노후화는 상당히 진행된 수준으로, 이로 인한 지반침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전국에 설치된 하수관 15만km 가운데, 설치 후 20년이 지나 결함 발생 가능성이 높은 노후 하수관은 전체의 40%인 6만km 규모다.
하수관이 노후화되면 결함이 발생하게 되고 상부의 토양이 결함부위를 통해 하수관으로 유실돼 땅 속에 동공(洞空)이 생긴다. 그 위로 차량 통행 등으로 하중이 가해지면 지반침하가 일어난다.
최근 5년간 지반침하 발생사례를 보면 가장 큰 원인이 하수관 손상으로 나타났다. 지반침하의 잠재원인인 노후 하수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노후 하수관 정밀조사는 하수관에 폐쇄회로(CC)TV 조사장비를 투입한 후, 지상에서 화면(모니터)과 조작 장치를 이용해 하수관 내부를 이동하면서 영상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촬영된 영상은 환경부가 정한 안내서(매뉴얼)에 따라 판독된다. 이후 환경부는 구조·운영 상태를 5등급으로 구분해 상태를 평가한다.
관련기사
- 환경부, 수입 석탄재 통관 대폭 강화2019.08.16
- SK이노-환경부, 사회적기업 공모전 당선작 시상2019.08.16
- 환경부-SK이노, 친환경 사회적경제 함께 육성한다2019.08.16
- SK·삼성, 韓 대표 AI반도체 리벨리온 잡기 혼신2025.09.02
환경부는 정밀조사 결과 긴급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는 결함 하수관은 국고를 우선적으로 지원, 결함 정도에 따라 하수관을 교체하거나 부분적으로 보수할 계획이다.
강복규 환경부 생활하수과장은 "최근 발생한 지하시설물 사고에서 볼 수 있듯, 지하에 묻힌 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며 "노후 하수관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올해 정밀조사를 시작으로 2023년까지 노후 하수관 4만km를 연차적으로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