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미국 유력 경제전문지 포춘(Fortune)이 선정하는 '글로벌 500대 기업'에서 올해 15위에 올랐다. 지난해와 비교해 3계단 하락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전년 대비 4.5% 증가한 매출 2천215억7천940만달러(연결 재무제표 기준)를 기록했지만, 글로벌 500대 기업 순위는 15위로 전년 대비 3계단 하락했다.
삼성전자는 1995년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에 221위로 처음 이름을 올렸다. 이후 2013년 14위, 2014~2016년 13위, 2017년 15위에 이어, 지난해에는 역대 최고 순위인 12위를 기록했다.
포춘은 "삼성전자는 지난해 선두인 스마트폰 시장에서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제조사들과의 경쟁에 직면했고 중국의 한 생산시설을 폐쇄하기에 이르렀다. 연말께는 메모리 반도체 수요 약세가 이어지며 고된 한 해를 보냈다"며 "그럼에도 전년 대비 매출액과 이익이 증가했다"고 평했다.

삼성전자는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50위권에 포함됐다. 국내 기업 중 SK그룹 지주사인 SK㈜가 지난해보다 11계단 상승한 73위, 현대자동차는 16계단 떨어진 94위, LG전자는 178위에서 하락한 185위를 기록했다.
1위는 지난해에 이어 미국 월마트가 수성했다. 중국 에너지기업인 시노펙과 네덜란드와 영국의 합작 정유사인 로열더치셸이 그 뒤를 이었다.
또 중국 석유천연가스총공사(CNPC)와 중국 국가전망유한공사(SGCC),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 영국 BP, 미국 엑손모빌, 독일 폴크스바겐, 일본 도요타 등도 '톱10'에 포함됐다.
관련기사
- 아베의 착각과 트럼프의 오판 그리고 삼성2019.07.23
- 삼성 폰, 2Q ‘보릿고개’…3Q 5G 新수요 선점2019.07.23
- 삼성전자, 협력사에 日 자재 90일치 이상 확보 요청2019.07.23
- 삼성전자, 세계 최초 ‘12Gb LPDDR5’ 이달부터 양산2019.07.23
한편, 중화권 기업들은 올해 글로벌 500대 기업에 129곳(대만 10곳)이 포함되며 미국(121곳)을 처음으로 뛰어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포춘은 "20년 전만 해도 500대 기업에 포함된 중국 기업은 단 8곳이었다. 중국 정부는 미래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며 "미국이 중국에게 완전히 항복하게 될 것인지는 여전히 확신할 수 없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