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 콘 CNCF 총괄 “컨테이너, VM 대체할 수 있을 것”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민첩성과 낮은 부하 강점

컴퓨팅입력 :2019/07/23 08:03

“클라우드가 기업 운영의 필수요소로 떠오르면서 대량의 앱과 서비스를 확장해서 서비스해야하는 과제가 생겼다. 컨테이너와 쿠버네티스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클라우드네이티브컴퓨팅재단(CNCF)의 댄 콘 총괄은 지난 19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열린 '오픈 인프라스트럭처& 클라우드 네이티브 데이 코리아'에서 컨테이너가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머신(VM)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냐는 질문에 가능할 것이라고 답했다.

컨테이너는 VM처럼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 등 여러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규격화하는 가상화 기술이다. 동일한 환경에서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밀집도와 민첩성을 제공해 주목받고 있다.

쿠버네티스는 다수의 컨테이너를 정리하기 위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기술로 업계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구글에 의해 설계되었고 현재 리눅스 재단 산하 CNCF가 관리하고 있다.

콘 총괄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다수의 앱과 서비스를 사용하기에 컨테이너화가 유리하다는 기업의 인식이 커지면서 이를 선택하는 기업이 빠르게 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쿠버네티스는 특정영역에 국한된 것이 아닌 금융, 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고 있다”며 “최근 IT전문이 아닌 기업도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탈바꿈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받는 상황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신규나 기존 앱을 그대로 도입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가 각광받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클라우드네이티브컴퓨팅재단(CNCF) 댄 콘 총괄.

■ 컨테이너, 클라우드 환경 최적화된 민첩성과 적은 부하

컨테이너는 VM처럼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을 사설 데이터 센터나 공용 클라우드 등 어떤 서버 환경에서도 작동할 수 있게 규격화하는 가상화 기술이다.

다만 하드웨어 스택을 가상화하는 VM과 달리 컨테이너는 운영체제(OS) 수준에서 가상화를 실시하여 다수의 컨테이너를 OS 커널에서 직접 구동한다. 커널을 공유해 보다 가볍고 시작이 빠르며 필요한 만큼의 자원만 할당 받아 실행할 수 있어 OS 전체 부팅보다 메모리를 적게 차지하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컨테이너는 가상머신, 베어메탈, 데이터 센터, 온프레미스 환경, 공용 클라우드, 개인 노트북 등 어느 환경에서나 구동할 수 있으며 자체 OS 내장이 필요하지 않아 용량이 적기 때문에 배포에 드는 시간도 절감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다만 VM에 비해 안정적인 운영 능력이 부족해 대안 마련이 중요하다. 정확히 할당된 자원 내에서 OS와 별도로 운영되는 VM과 달리 컨테이너는 OS 커널을 공유하는 만큼 일부 컨테이너가 무리하게 자원을 사용할 우려가 있으며 컨테이너를 통해 OS를 조작할 수 있는 등 취약점 등이 노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CNCF는 이런 컨테이너의 문제를 쿠버네티스를 통해 해결하고 있다. 쿠버네티스는 서비스를 중단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비롯해 특정 컨테이너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즉시 복제 컨테이너를 생성해서 서비스를 유지하는 자가 회복(Self Healing) 기능을 지원한다.

■ 구글, VM웨어 등 주요 IT기업 중심으로 활성화

컨테이너와 쿠버네티스는 구글, AWS, 마이크로소프트(MS), 애플, 알리바바, IBM, 레드햇 등 주요 IT 기업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 중이다.

대표적으로 쿠버네티스를 개발한 구글은 G메일 등 거의 모든 서비스와 시스템을 비롯해 PaaS 등까지 컨테이너화해 클라우드 환경에 적용하고 있다.

가상머신 분야를 주도하는 VM웨어도 자체 쿠버네티스 배포판 ‘VM웨어 PKS’를 출시하고 가상머신에서 컨테이너로 옮기는 서비스를 솔루션으로 제공하는 등 컨테이너 관련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컨테이너 자체를 VM에서 구동해 두 솔루션의 장점을 강화하려는 시도를 선보였다.

MS와 레드햇은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외부 이벤트 소스를 받아 컨테이너 확장 자동화를 구성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KEDA'를 함께 개발해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CNCF 댄 콘 총괄은 “처음 컨테이너를 접하면 어려움을 느낄 수 있지만 AWS나 구글 등 주요 기업에서 매니지드서비스 형식으로 쿠버네티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쉽게 접근해 사용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삼성SDS, SK텔레콤 등 국내 기업 도입 적극

국내에서도 컨테이너와 쿠버네티스에 많은 관심을 보이며 도입하기 위한 사례가 점차 늘고 있다. 대표적으로 삼성SDS는 CNCF의 이사회의 주요 멤버로 활동하며 도커와 쿠버네티스 기반 엔진과 데브옵스, 미들웨어, 클라우드 매니지먼트 플랫폼으로 구성된 PaaS를 선보인다.

SK텔레콤도 내부 인공지능 팀 등에서 쿠버네티스와 컨테이너를 일부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센터에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해주는 상용 오픈스택 버전 ’타코’를 모든 이용자에게 오픈하기도 했다.

또한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NCP)은 지난 5월 쿠버네티스 관리형 서비스를 출시하기도 했다. 라인, 카카오 역시 서비스를 쿠버네티스 기반으로 점차 옮기는 추세다.

관련기사

4년 전 쿠버네티스 재단 창립 멤버로 참가한 엔씨소프트는 결제, 사용자 지원, 회계 등 다양한 분야에 쿠버네티스를 도입하고 있다.

콘 총괄은 “쿠버네티스는 리눅스 상에선 문제가 없지만 아직 윈도에선 부족한 부분이 있다”며 “1년 내에 윈도 지원을 늘릴 수 있을 생각하는 만큼 그땐 엔씨소프트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윈도 사용 사례도 옮겨오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