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 기술 육성...2026년까지 '세계 1등' 제품 4종 확보

'5G+ 정보보호 R&D 추진 전략' 발표

컴퓨팅입력 :2019/04/28 12:56

정부가 정보보호 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R&D) 전략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오는 2026년까지 세계 1등 제품을 4종 확보키로 했다.

지난 2017년 기준 9.1%였던 기업 사고 경험률도 같은해까지 절반 정도인 4.5%로 줄이기로 했다.

미국, 중국에 비견되는 'G2'급 기술 경쟁력 확보가 목표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조사 결과 2017년 기준 최고 기술국인 미국 대비 기술 수준이 85.5%였던 것을 2026년까지 95%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성재모 IITP PM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26일 열린 '정보통신망 정보보호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5G+ 정보보호 R&D 중장기 추진 전략'에 대해 소개했다.

5G+ 정보보호 R&D 중장기 추진전략은 5G+ 전략에서 꼽은 10대 핵신 산업 중 정보보안 산업에 대한 추진 전략이다. 지난 8일 정부는 오는 2026년까지 생산액 180조원, 수출액 730억 달러(약 84조 7천165억원), 일자리 60만개 창출 등의 목표를 담은 '5G+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정부는 5G를 비롯한 차세대 인프라가 구축되고, 융합 산업이 새로 등장하는 현 상황에서 안정적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중장기적인 정보보호 R&D 지원을 논의해왔다.

지난 1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민간 부문 정보보호 종합 계획'을 마련, 사이버보안 핵심 기술 개발을 통한 국민 사이버 안전 확보와 정보보호 산업 기술 경쟁력 강화를 전략의 일환으로 공개했다.

지난 2월 4차산업혁명위원회에서는 ▲정보보호 중장기 핵심기술 개발 ▲혁신적 R&D추진 ▲정보보호 산업경쟁력 강화 ▲수요자 참여 R&D생태계 조성을 골자로 하는 '민간 부문 정보보호 R&D 중장기 전략'을 수립, 보고하기도 했다.

정부는 이번 전략 추진을 통해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보안 이슈를 해결해 국민 체감도를 높이고, 불안감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성재모 IITP PM

■C-P-N-D 영역별 기술 개발 추진

정부는 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기기(C-P-N-D) 영역 보안 기술을 개발한다.

콘텐츠 측면에선 공격으로 인한 정보 유출, 사생활 침해 방지를 위한 데이터 자산 보호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빅데이터 비식별화 기술, 기능형 암호화 기술, 양자내성 암호 기술 등이 활용될 전망이다. 성재모 PM은 "지능형 CCTV 등이 확산되면서 프라이버시 이슈가 매우 큰 화두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플랫폼을 보호하기 위한 침해 공격 자동 탐지·분석·대응·예방 기술도 개발한다. 초연결 이종 디바이스 보안 관리, 지능형 위협 탐지 분석, 자율 보안 위협 대응, 침해 사고 자동 진단 복구, 지능형 취약점 예방 기술 등이 해당된다.

초다량 보안 처리, 광대역 이(異)기종 보안 처리, 엣지 보안 기술 등 5G 네트워크 보안도 핵심 기술로 꼽혔다.

기기의 경우 보안 기능을 내장화해 안전성을 확보하는 기술 개발이 이뤄질 예정이다. 다양한 스마트 기기가 등장하는 점을 고려, 저전력·저사양 기기에 적합한 보안 기술 개발도 추진된다.

■챌린지형 R&D 도입...전문 연구실도 확대

정부는 기술 개발 과정에서 혁신적, 도전적인 R&D 추진을 위한 방안을 마련했다.

그 일환으로 올해부터 사이버 보안 챌린지형 R&D가 실시된다. 사이버 자동 해킹·방어, 소스코드 취약점 자동 탐지·제거 등 도전적 주제에 대해 연구 지원을 하고, 연구 경쟁 하에 우수 기술을 선정하는 식이다.

성 PM은 "특정 기업이나 학교를 선택해 R&D를 지원하고, 4~5년 뒤에 결과가 발표되는 방식으로 많은 논문이나 특허가 나왔지만 산업화 측면에서는 성과가 미진했던 것 같다"며 "연구 주제에 대해 제안해온 기관 4~5곳을 대상으로 1년간 지원한 뒤 한 곳에 연구 예산을 집중 지원해 선도적 기술이 나올 수 있게 하려 한다"고 말했다.

정보보호 전문 연구실도 확대, 개편된다. 신기술 개념 정립·증명, 안전한 암호 사용 예측, 공급망 위험 분석 등 전문 분야에 대해 장기적인 연구를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사생활 침해, 재난·안전 등 실생활과 밀접한 사이버 보안 이슈에 대해 현장에서 실증하는 '수요자 참여형 정보보호 리빙랩'도 추진된다. 수요처와 함께 기획하고, 협력해 R&D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성 PM은 "지자체에서 이를 많이 도입해봤는데 효과가 좋았다"며 "지능형 CCTV와 관련해 사례가 많이 있었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됐다는 피드백도 있었다"고 언급했다.

지능형 CCTV 화면.

■기술 개발 돕는 데이터셋 구축·공유...전문 인력도 양성

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 기업 지원 제도도 개선된다. 스타트업 기술 지원 과정에서 기술 제안서를 중심으로 지원 기업을 선정하던 기존 방식이 아닌, 투자자 관점의 피칭 형식 경쟁형 평가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선정된 기업에게는 정보보호 클러스터 시설·공간 활용이나 정보보호 해외 진출 지원 사업 등을 연계해 해외 진출을 지원할 방침이다.

공유 목적의 R&D 데이터셋도 활성화한다. 트래픽과 로그데이터 등 각종 사이버 위협 정보와 인공지능(AI) 학습 데이터 등이 해당된다. 성 PM은 "CCTV 영역을 예로 들면 한국이 중국보다 강국이었지만 최근 2~3년새 경쟁 구도가 많이 바뀌었다"며 "국내 연구자들은 충분한 데이터셋을 구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고, 이는 KISA에서도 피드백을 줬던 사항"이라고 부연했다.

융합 보안 인력도 양성한다. 지연 전략 산업과 연계하는 방식이다. 올해는 3개의 전문 대학원이 신설된다.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해 오는 2024년까지 R&D 참여 기업 중 글로벌 네트워크과 기술 경쟁력을 보유한 기업 5곳에 집중 지원할 계획도 밝혔다.

■수요자 참여 기반 개방형 R&D 기반 조성

정부는 R&D 기획, 운영, 성과 확산 전 주기에 걸쳐 수요자가 참여하는 R&D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공공, 민간 부문 현장에서 요구하는 사항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수요 기관 협의체가 구성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과제별로 수요 기관 협의체와 연계해 결과물을 실증하고, 성과 확산과 사업화 비중을 높이기 위해 성과관리 위원회도 운영된다.

수요자 참여 기반 개방형 R&D 운영 모델

아울러 사이버전(戰) 등 미래 국가 안보 위협 대비를 위해 중장기적인 기술 개발 전략을 수립, 관리하는 정보보호 기술 전략 연구실도 운영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