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시대 스마트공장, 보안부터 챙긴다

5G 기반 연결성 더해진 제조현장, 정보보호 위협 더 커져

방송/통신입력 :2019/04/19 17:33    수정: 2019/04/20 10:28

5G 통신의 핵심 서비스로 꼽히는 ‘스마트 공장’을 확산시키는 동시에 정보보호를 강화하는 전략이 투트랙으로 가동된다.

초저지연과 초고속 등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시키는데 5G 통신은 제격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제조 공장의 디지털 요소가 늘어나면서 해킹 위협도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정부는 이에 따라 스마트 공장 확산 전략에 정보보호 전략도 추진키로 했다.

19일 서울 역삼동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5G 시대 스마트 공장 확산과 정보보호 세미나에 토론자로 참석한 손창용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융합보안팀장은 “5G+ 전략의 핵심 서비스로 스마트 공장이 포함되면서, 정부는 스마트 공장의 보안 인식을 제고할 필요성이 높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밝혔다.

국가적 신산업 육성 정책인 5G+ 전략의 후속조치로써 스마트공장의 경우 정보보호에 힘을 기울이겠다는 뜻이다.

스마트 공장 확산 전략은 중소벤처기업부가 맡고 있다. 산업단지를 비롯한 제조업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정책 수요가 크다. 이에 따라 이날 세미나는 과기정통부, 중기부,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5G 시대 스마트 공장에서 예상되는 보안 위협에 대한고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주목된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이동근 침해사고분석단장은 “5G 시대 스마트 공장은 복잡한 서플라이체인(공급망)을 갖게 되고 제조시설 내 네트워크가 복잡해지면서 노드 간 신뢰 문제도 해결해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장 내에 클라우드가 도입되는 것 외에도 공장 간에 연계가 되고 데이터가 오가면서 실제 장비 위치가 어디인지 파악해야 하는 가시성 문제도 고민할 문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2년까지 3만개의 스마트 공장을 확산시키겠다는 정부 전략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과기정통부는 초기 단계에서 스마트 공장의 보안 테스트베드가 필요하다는 뜻을 나타냈다.

손창용 팀장은 “산업부와 함께 논의하고 있는 스마트 산단을 준비하면서도 보안 문제를 고민하고 있다”면서 “보안을 강화한 단순 스마트 공장 컨설팅 외에도 보안과 관련된 실증을 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아울러 기존 정보보안인증체계와 별도로 스마트 공장에 걸맞는 보안관리 체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눈길을 끈다.

이동근 단장은 “한때 ICT 업계 전반에서 데브옵스라며 개발과 운영이 같이 움직인다는 개념이 유행을 탔지만, 기획 단계부터 보안이 필수인 스마트 공장에서는 데브시큐옵스라는 개념의 의미가 커질 것”이라며 “지금의 ISMS와 같이 스마트 공장도 연결성이 핵심인 만큼 새로운 정보보안관리체계를 도입하는 검토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