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장애인, 노인 등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서비스 4종을 개발해 선보인다.
치매 환자를 위해 말벗과 응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돌봄 로봇'을 개발하고, AI를 활용해 독거 노인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도 내놓는다.
또 발달장애 아동의 인지학습을 돕는 AI 기반 교육 서비스와 청각장애우를 위한 대중교통 실시간 문자 및 수어 애니메이션 전환 서비스를 선보인다.
올해 이들 서비스 개발에 40억 원을 투입한다. 이달 7일부터 다음달 8일까지 사업자 공모하고, 관련 사업 설명회를 오는 12일 오후 2시 대한상공회의소 중회의실A에서 연다.
6일 과기정통부는 이 같은 내용의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능정보화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박진희 과기정통부 정보화기획과장은 "이 사업 추진을 위해 지난 1년간 국내 뉴스 분석, 현장 수요자 의견 청취 및 전문기관과 학계 등의 자문을 거쳐 장애인, 노인, 청소년 등 분야별로 다양한 후보과제를 발굴했다"면서 "이중 시급성과 파급효과, 기술 성숙도 등을 감안해 올해 추진할 4개 신규 과제를 도출했다"고 설명했다.

4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우선, 고령화로 인한 그늘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돌봄 사각지대에 놓인 치매 환자를 위해 말벗과 일상 관리, 응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돌봄 로봇을 개발한다.
또 독거 노인의 생활 관리를 위해 웨어러블 장비를 통해 데이터를 축적하고, AI를 통해 맞춤형 일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서비스도 개발 및 실증을 지원한다.
청각장애인용 서비스도 개발한다. 출발과 도착 등 지하철 등 대중교통의 음성 안내 방송을 청각자애인이 실시간 문자나 수어 애니메이션으로 받아 볼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해 보급한다.
이외에 조기발견 및 인지훈련이 필요한 발달장애 아동의 인지학습을 돕는 AI 기반 교육 서비스 개발 및 실증도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사업의 원활한 보급 및 확산을 위해 복지부 등 관계부처와 관련 공공기관, 민간전문가로 구성한
정책협의회를 구성해 운영할 예정이다.
박진희 과장은 "이번 사업은 민간의 초기 투자가 쉽지 않은 분야"라며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능정보 서비스 시장을 선도적으로 조성하는데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과기정통부는 농아인협회와 발달장애아 부모 같은 수요자 측 의견을 지속적으로 청취, 반영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AI가 예측한 월드컵 우승팀은 '스페인'2019.03.06
- AI 스피커 "아직도 넌 내가 비서로 보이니?"2019.03.06
- AI에게 넉 달 동안 수묵화 가르쳐줬더니...2019.03.06
- TSMC, 美 첨단 패키징 선점 속도…삼성전자는 투자 부담 '신중'2025.08.29
이 사업에 응모하려면 지자체와 공공기관, 지능정보기술 및 서비스 개발 기업 등 두 곳 이상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한다. 공모기간은 이달 7일(목)부터 4월 8일(월)까지다.
사업 완료 기간은 과제마다 다를 것으로 판단, 기한을 정하지 않았다. 관련 사업설명회가 오는 12일 오후 2시 대한상공회의소 중회의실A에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