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교역량의 99.7%를 맡고 있는 해상 물류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시킨다. 국가 핵심운송체계인 해상물류의 경쟁력을 높이고 신성장 동력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8일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주재한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스마트 해상물류 체계 구축전략’ 안건이 심의를 받았다.
유럽과 인근 국가인 중국과 일본은 스마트 항만, 자율운항 선박 등을 국가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적극적인 정책 추진으로 스마트 해상물류 선도대열에 합류하겠다는 전략이다.
해양수산부는 이를 위해 2025년까지 스마트 해상물류의 기반을 마련하고 2030년까지 스마트 해상물류를 실현한다는 단계적 목표를 세웠다. 또 주요 전략으로 ▲스마트 해상물류 인프라 구축 ▲연관업계 지원 및 일자리 창출 ▲시범사업 및 현장실증 등을 수립했다.

우선 첫째 전략으로 항만과 선박의 스마트화를 가속화하고 물류설비 간의 연계를 효율화한다. 물류주체 간 정보 공유를 활성화하는 물류정보 생태계를 구축한다.
스마트 컨테이너 개발, 수출입 자율주행차량의 자동하역 지원 시스템 개발 등 미래를 대비한 연구개발(R&D)도 추진할 예정이다.
스마트 해상물류 협의체를 구성키로 한 점이 주목된다. 개별적 사업 추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민간 협의체와 정부 실무자, 전문가를 포함하는 정책 협력 체계를 갖추겠다는 뜻이다.
협의체는 자동화로 인한 일자리 전환대책 마련과 신규 일자리에 맞는 전문인력 양성을 추진하고 인재개발과 창업 육성, 투자 지원까지 지원하는 ‘창업(스타트업) 종합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할 계획이다.
끝으로 시범사업과 현장실증을 통해 상용화 이전에 문제점을 보완한다는 계획이다.
예컨대 광양항에서 항만 자동화 설비의 연계 실증을 추진하고, 부산항과 인천항에서는 항만 지능화 및 주체 간 연계 효율화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울산항에서는 에너지 분야 창업기업 육성과 물류정보 생태계 구축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350억 규모 해상망 LTE-M 구축 사업 규격 공개2019.01.08
- KT "위성으로 '초연결 모빌리티' 구현할 것"2019.01.08
- "IBM, 해운업에 블록체인 도입키로"2019.01.08
- SK텔링크, 선박 35척 해상 위성통신서비스 공급2019.01.08
정부 관계자는 “2만4천 TEU급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하역작업을 현재 40시간 수준에서 24시간 수준으로 줄이고 기존 터미널 대비 연간 1천200억 원 이상의 편익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전체 해양사고를 절반으로 줄이고 해상물류 정보 생태계 구축을 통한 신규 서비스 창출과 창업기업 300개 육성 등의 세부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