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거래소 자전매매 판별법 4가지

코인원 리서치 최신 보고서에서 제시

컴퓨팅입력 :2018/12/04 13:55    수정: 2018/12/05 08:58

전통 금융거래 시장에서 시장 가격을 왜곡한다는 이유로 엄격하게 금지되고 있는 자전매매가 암호화폐 거래 시장에서 횡행하고 있다. 전세계 암호화폐 거래소 거래량의 60% 이상이 자전 매매라는 블록체인 투명성 기구(BTI)의 분석이 나왔을 정도다.

현재 암호화폐 거래 자전매매에 대한 정부차원의 규제가 없는 만큼 투자자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건전한 보호소를 선택할 수 있는 안목이 요구된다.

최근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이 공개한 '거래소 내 자전매매를 포착하는 방법'에 대한 보고서를 참고하는 것도 방법이다.

코인원은 4일 홈페이지를 통해 '거래소 내의 자전매매: 무엇이 문제이며 어떻게 간단하게 포착하는가?'라는 제목의 보고서(☞링크)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자전매매를 "동일한 투기자 또는 사전합의를 거친 투기자들이 같은 가격과 수량으로 각각 매수·매도 주문을 내어 상호체결 시켜, 실질 소유권 이전 없이 거래량을 부풀리는 수단"이라고 정의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거래소에서 자전매매가 이뤄지는 절차는 이렇다. 먼저 스프레드(최고 매수호가와 최저 매도호가의 차이)가 커지는 시점을 기다린다. 스프레드가 벌어져 매수·매도 주문이 존재하지 않는 가격에 맞춰 매수·매도 주문을 넣어 체결시킨다. 무고한 투자자가 현혹돼 실질 주문이 들어와 스프레드가 축소되면 자전매매를 중단한다. 이런 방법으로 실제 거래자가 내놓은 매수·매도 물량(실제 오더북 크기) 이상으로 거래를 부풀린다.

보고서는 자전매매의 문제 점에 대해서 "상품이 실제보다 더 높은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오해를 일으켜 무고한 투자자들을 유인해 가격왜곡의 환경을 만든다"며 "이로써 투자자들에게 많은 손실을 입히는 '펌프 앤 덤프' 같은 시나리오를 가능하게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거래소에서 자전거래가 이뤄지고 있는지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했다. 먼저 같은 가격의 동일 거래량 주문 반복 체결되거나 보편적인 투자자의 활동시간과 벗어난 시간에 거래 체결이 집중돼 있다면 자전매매를 의심해 볼 수 있다. 또, 오더북의 규모보다 더 큰 단위의 거래가 지속되거나 거래량이 많아 유동성이 풍부한데도 불구하고 가격 변동이 거의 없어도 자전매매 가능성이 크다.

관련기사

코인원은 보고서에서 11가지 실제 의심 사례도 제시했다.

코인원 측은 "이를 바탕으로 개인 투자자도 외부의 분석이나 소문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단 몇 분 만에 해당 거래소의 자전매매 가능성을 판단하고 그 결과를 건전한 거래소 선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