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병규 “4차 혁명 일자리 변화 거부해선 안 돼”

거스를 수 없는 현실 강조…능동적·선제적 대응 주문

방송/통신입력 :2018/08/22 18:13

“글로벌 경제에 편입된 이후 일자리 변화는 거스를 수 없는 추세다. 일자리 변화는 능동적,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의 장병규 위원장은 22일 국회서 열린 ‘4차산업혁명 시대의 융합일자리 창출방안 토론회’에 발제자로 참석해 이같이 말하고, 일자리 변화의 능동적인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그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를 거부하는 것은 일종의 러다이트 운동을 반복하자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며 경고하기도 했다.

이는 방적기를 파괴하는 운동이 아니라 방적기를 통한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내는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뜻이다.

장병규 위원장

장 위원장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가 없어진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고, 일자리가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변한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면서 “누구의 이야기를 듣더라도 확실한 점은 현존하는 일자리가 그대로 간다는 명제에 대해서는 모두 부정적이다”고 말했다.

이어, “일자리가 없어지든 변화하든 변화가 지대하다는 점에는 공감대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가만히 있으면 일자리 감소가 일어나는 것은 그냥 추세고 어찌할 도리가 없기 때문에 능동적,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일자리 변화는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는 문제인식을 가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도 "일자리는 사라지는 것이 아니고 이동하는 것"이라면서 "가트너는 4차 산업혁명으로 4억명의 일자리가 없어질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더 양질의 일자리가 4~8억개가 생길 것으로 내다봤다"며 장 위원장과 같은 생각을 표하기도 했다.

아울러, 장 위원장은 일자리 변화는 단기적 시각으로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일자리 변화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측면으로 이해해야 한다”며 “인공지능 이전에 자동화부터 이야기하면 십수년전부터 일어나던 일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4차 산업혁명으로 새롭게 생기는 일자리는 지금의 젊은이들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될 가능성이 높다”며 “한해 한해 변화는 크지 않겠지만 앞으로 5년 뒤, 10년 뒤, 15년 뒤를 생각해보면 변화의 폭이 매우 클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석제범 센터장

장병규 위원장에 이어 발제를 맡은 석제범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장은 ICT 산업 분야의 일자리에 대해 산업 구조의 문제, 질적 성장의 문제, 인력 수급 불일치를 문제점으로 꼽고 개선해야 할 과제로 봤다.

석제범 센터장은 “ICT 분야의 일자리 고용이 감소된다고 하는데, 종사자 수 증가율이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모든 산업의 고용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지만 ICT 분야의 증가율은 지난해 1.0%로 많이 둔화됐다”고 밝혔다.

ICT 분야의 일자리 증가율 둔화 이유로는 신규 채용 증가가 정체되는 점을 꼽았다.

석 센터장은 “무엇보다 우리나라의 ICT 산업 구조 문제를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며 “기기, 서비스, 소프트웨어 세가지로 분류해보면 산업 비중은 기기 분야에 72.9%로 쏠려있지만 취업유발계수는 서비스와 소프트웨어 분야가 훨씬 높다”고 꼬집었다.

이에 따라, 제조업도 중요하지만 일자리 증가 가능성이 높은 서비스 분야와 소프트웨어 분야를 국가적으로 발전시키고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뜻이다.

석 센터장은 “ICT 기업의 질적 성장 문제가 일자리 증가율 둔화에 영향을 미치는데 센터에서 조사한 고성장 ICT 기업수는 2014년 414개에서 2016년 380개로 줄었다”며 “고성장 기업이 일자리 창출에 적극적이기 때문에 ICT 기업의 질적 성장을 도울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이밖에 인력 수급 불일치 현상이 ICT 분야 일자리 창출을 가로막고 있다는 뜻도 내비쳤다.

석 센터장은 “최근 인공지능 인력 수요가 많고 글로벌 기업이나 국내 기업도 인력을 구하는데 노력을 기울였지만 사람이 없어 채용을 못하고 있다”며 “우리 조사에 따르면 2022년까지 인공지능 분야에서 4천500명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수요공급 미스매치 해결에 신경쓸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