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안 현장 도울 ICT 6개 신규과제 선정 지원

성범죄 2차 피해 방지 챗봇, 교통사고 2차 사고 방지 드론

방송/통신입력 :2018/08/02 12:00

2차 교통사고 방지, 성범죄 피해자에 대한 추가 피해 방지 등 국민적 관심이 높은 치안현장의 문제 해결을 위해 드론, 챗봇 등 기술이 활용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찰청은 2일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국민과 경찰이 요구하는 치안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치안현장 맞춤형 연구개발 시범사업(폴리스랩 사업)’의 신규 과제를 선정,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폴리스랩은 치안을 뜻하는 폴리스(Police)와 리빙랩(Living-Lab)의 합성어로, 과제 선정부터 실증까지 국민, 경찰, 연구자가 함께 참여하게 된다.

그동안 ‘대국민 과학치안 아이디어 공모전’과 국민, 현장경찰, 연구자 대상 수요조사 등을 실시, 국민생활과 밀접하고 시급히 해결이 필요한 현안을 도출했다.

기술 전문가는 물론 현장 경찰관들이 함께 평가 과정에 참여해 접이식 방검용 방패, 성범죄 2차 피해방지 인공지능(AI) 챗봇, 교통사고 2차 사고 방지 드론 등 총 6개의 신규과제를 선정, 향후 3년간 약 100억원을 지원한다.

■초경량 소재 적용한 접이식 방검·방패

현 방검복, 방탄복은 무겁고 착용도 불편해 현장 경찰이 흉기 소지자 등의 불시 공격에 적시에 대응하기 곤란했다. 접이식 방검방패 개발팀은 버튼을 누르면 펼쳐져 휴대하기 편하고, 초경량 섬유강화 복합소재 사용으로 무게도 가벼운 접이식 방패를 개발한다.

■스마트폰 기반 지문식별·신원확인 시스템

현재 치매노인, 미아 등의 신원확인에 약 1시간 가량이 소요되고 이를 위한 절차도 복잡하다.

스마트폰 지문식별·신원확인 시스템 개발팀은 경찰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대상자의 지문을 스캔, 60초 이내에 신원 확인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위급 상황 대응이나 수사의 '골든타임'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고자·구조 요청자의 정확한 위치 확인

신고나 구조 요청 접수 시,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렵고, 반경 1~2km의 넓은 지역을 탐색해야 하는 등 일선 경찰관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신고자?구조요청자 위치 확인 기술개발팀은 와이파이, LTE, 스마트폰 탑재 센서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 모바일 단말기 위치 파악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을 개발해 탐색을 위한 시간과 인력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블랙박스 영상 제보·분석 시스템

블랙박스 영상물 제보시스템 개발팀은 영상을 온라인으로 쉽고 편리하게 제보할 수 있는 시스템과 CCTV, 블랙박스 등의 영상을 종합해 인공지능으로 분석하는 기술 등을 개발한다. 이는 범죄사건의 보다 신속한 해결에 기여할 전망이다.

■성범죄 추가 피해 차단...'AI 상담형 챗봇'

성범죄의 경우 범죄 발생 이후 수사 과정 등에서 피해자가 겪을 수 있는 추가 피해를 방지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성범죄 문제 해결기술팀은 피해자 진술을 돕는 AI 기반 상담형 챗봇을 개발, 피해 특성별로 꼭 필요한 진술을 확보하고 피해자의 심리적 부담을 줄이는 등 추가 피해 최소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형 드론으로 2차 교통사고 예방

긴급한 사건, 사고에 출동하거나 고속도로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할 경우 대응은 물론, 2차 사고 방지를 위한 현장 통제까지 동시 수행하면서 일선 경찰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순찰차에서 탑재돼 자동 이착륙과 현장 통제 임무 수행 등이 가능한 소형 드론 시스템을 개발, 고속도로 2차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업무를 수행하게 할 예정이다.

기술개발 과 실증 과정에 일선 경찰관의 의견이 반영되도록 연구팀 별 현장 담당 경찰관도 배치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과기정통부와 경찰청은 6개 연구팀을 통해 개발되는 제품과 서비스가 치안 현장에 적기 적용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의 개선이나 공공 구매와의 연계에도 나설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와 경찰청 관계자는 “치안현장의 문제는 과학기술을 통해 보다 근원적인 해결이 필요한 가장 시급한 국민생활문제 중 하나”라며 “국민, 현장경찰이 연구개발 전 과정에 참여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제해결 기술을 개발하고 치안 현장에 적용,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