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라이브가 부분 매각 추진한 진짜 이유는

하락세·포화 시장서 기준가 정립 목적 분석…양사 윈-윈 평가도

방송/통신입력 :2018/04/10 17:13

지난달 30일 딜라이브가 서초 권역을 현대HCN에 매각한 것을 두고 유료방송 업계가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케이블 방송(SO) 업계에서 부분 매각은 흔치 않은 일이다. 전용주 딜라이브 대표가 지난 4일 기자들을 상대로 "분할 매각은 예정돼 있지 않다"며 "전체 매각만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한 것을 고려하면 뜻밖의 행보다.

업계는 특히 이번 매각에서 딜라이브가 가입자 당 약 65만원으로 가격을 책정한 것에 대해 주목한다. 서초가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이 가장 높은 지역중 하나인 만큼 최근 업계에서 언급된 M&A 시세 중 가장 높은 가격이다.

실제, 지난 2016년 말 CJ헬로가 하나방송을 인수할 당시 매겨진 가입자당 가격은 약 25만원, 2015년 말 SK텔레콤이 CJ헬로 지분 30%를 인수하고자 했을 때는 약 45만원이었다.

다만, 가입자당 65만원으로 딜라이브의 현재 가치를 환산하면 약 1조7천억원으로, 과거 딜라이브가 매각을 준비하며 내걸었던 2조5천억원이라는 금액보다는 적다. 지난달 26일 회사가 매각가 할인을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 "사실 무근"이라고 밝힌 것과 대비되는 결과다.

딜라이브.
현대HCN

■"유료방송 M&A 기준가 재조정 목적 크다"

때문에 업계는 딜라이브가 가장 가치가 높은 권역을 매각해 M&A 시장 기준가를 재조정하려는 의도가 컸다고 보고 있다.

유료방송 업계 관계자는 "네트워크 연계와 서비스 유사성 측면을 고려할 때 케이블 사업자 간 M&A와 케이블사업자, IPTV 사업자 간 M&A를 놓고 보면 전자에서 기대할 수 있는 시너지가 더 크다"며 "현대HCN 입장에서는 딜라이브와 경쟁하던 프리미엄 권역을 단일 SO 서비스 지역으로 전환할 수 있는 등 장점이 많다"고 말했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특히 서초 권역은 디지털 가입자가 주를 이룬다"며 "양방향 부가 서비스로 추가 수익 창출이 가능해 IPTV 사업자와 대적하는 서비스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도 고려됐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딜라이브 입장에서는 과거 M&A 사례에서 언급된 시세로 매각을 추진하고 싶지 않았을 것"이라며 "새로운 시장 가격을 만들고 싶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과거 SO가 호황기를 겪을 때 100만원도 넘게 책정되던 가입자당 가격은 최근 IPTV 사업자의 등장 등 시장 포화를 겪으면서 크게 낮아졌다. 딜라이브 역시 과거 MBK파트너스가 인수할 당시 금액은 가입자당 약 120만원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딜라이브로서는 타사 M&A에서 매우 싼 가격이 언급돼 곤란했을 것"이라며 "가격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가가 계속 형성되지 않고 있었는데, 이번 M&A를 통해 기준이 만들어진 셈"이라고 평가했다.

■"65만원, 부가상품 판매·마케팅비 고려하면 비싸지 않다"

이번 M&A 결과를 두고 업계에서는 현대HCN과 딜라이브 모두 '윈-윈'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딜라이브 입장에서는 하락세였던 SO 시세를 높은 가격에 재조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 매각 추진 과정에서도 현재 1조7천억원 이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기준점을 만든 셈이다.

현대HCN의 경우 가입자를 추가 확보하기 위해 상당한 마케팅 비용 지출이 따르는 최근 시장 상황을 고려하면 가입자당 65만원이 크게 비싼 가격이 아니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최근 유료방송 업계는 IPTV 사업자 진출 등 경쟁 격화로 포화 상태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업계 관계자는 "유료방송 시장은 규모의 경제가 적용되는 시장"이라며 "각 업체들이 M&A를 통해 가입자를 한꺼번에 늘리고자 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M&A의 경우도 가입자당 65만원 가량의 마케팅비를 지출했다고 간주할 수 있다"며 "과거 가입자 유치 시 몇십만원 상당의 사은품을 주는 등의 지원이 성행했던 점, 새로 유치한 가입자를 대상으로 타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나쁘지 않은 가격"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