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성공하려면…“시장 수요부터 찾아야”

KT, 정부에 '기술주도→수요견인' 정책 방향 전환 제시

방송/통신입력 :2017/05/29 16:25

KT가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시장 수요를 반영한 청사진을 제시해야 민간에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희수 KT경제경영연구소 대외정책연구실장은 29일 열린 ‘KT퓨처포럼’에서 “어느 나라나 사회 불평등, 고령화 등의 문제가 모두 있겠지만 나라마다 고유의 성격이 있을 것”이라며 “그 나라가 필요로 하는 기술이 무엇인지 찾아보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기술을 투입할 것인지 알 수 있기 때문에 수요견인(Demand Pull)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 정책 방향처럼 산업 단위별 신기술 공급 중심의 정책도 필요하지만, 이제는 새로운 기술을 갖고 무엇을 할지 질문을 먼저 한 뒤 시장 수요가 보장된 상황에서 리스크를 줄일 방안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과거에는 새로운 기술이 산업의 혁신을 이끄는 기술주도(Technology Push) 방식이었다면, 이제는 실제 시장에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산업이 변모하는 수요견인(Demand Pull) 방식에 맞춰야 한다는 의미다.

특히, 국가적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고 있는 만큼 시장성까지 고려한 정부 주도의 움직임이 선행돼야 한다는 게 김희수 실장의 설명이다.

김희수 KT경제경영연구소 대외정책연구실장.

KT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꼽은 차세대 통신기술 5G 도입에도 정부 주도의 시장 활성화 움직임이 필요하다는 뜻을 내비쳤다.

김희수 실장은 “통신사로서 4차 산업혁명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이 정보통신망 제공이고 전신, 전화,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이 역할을 하지 않았던 산업혁명기는 없었다”면서 “5G 망은 산업 인프라로서 큰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에 합리적인 대가의 주파수 할당이 적기에 충분한 대역폭으로 이뤄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어, “(5G를 산업 인프라로 사용할) 의료, 교통, 농업 등 산업별 수직적인 영역에서 새로운 ICT 기술을 접목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며 “각각의 산업에서 대기업은 자력으로 새로운 사업을 하더라도 상당수의 중소기업과 벤처는 기회가 있는지도 모르고 비즈니스모델을 찾기도 어렵기 때문에 정부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협업구조를 만들고 기술인력 지원 등의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5G 외에도 KT는 미션 지향적 정책 접근에 따른 민관 협력 프로젝트 추진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5G 인프라 확산 외에 KT가 꼽은 4차산업혁명 시대에 국내에서 필요한 정책은 ▲일자리 ▲고령화 저출산 ▲사회안전망 ▲환경 ▲교육 ▲산업디지털화(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등이다. 이 내용은 오는 31일 KT경제경영연구소가 출간하는 ‘한국형 4차산업혁명의 미래’에 담겼다.

김희수 실장은 “EU의 2020전략, 일본의 소사이어티 5.0 등 다른 국가에서 사회문제 해결이란 목표를 위해 진행하는 프로젝트 역시 초기 수요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수요견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