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ICT로 기회 찾아야”

ICT 산업전망컨퍼런스, ICBM 선도적 기술 투자·인재 양성 강조

방송/통신입력 :2016/10/25 13:16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ICT 중심의 발 빠른 대응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기됐다. 이들은 또 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을 일컫는 ICBM에 선도적인 기술 투자와 인재 양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5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정보통신기술 융합과 지능정보로 열어가는 제4차 산업혁명’을 주제로 ‘2017 ICT 산업전망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 날 오전 세션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과 ICT 대전환’이란 주제로 데일 포드 IHS 부사장과 김도환 정보통신정책연구원장이 강연을 진행했다.

■데일 포드 IHS 부사장 “한국, 5G 시대 주도할 것”

데일 포드 IHS 부사장이 강연하고 있다.

먼저 데일 포드 부사장은 반도체 시장에서 거대한 인수합병(M&A)이 일어나면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톱5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이 증가 추세에 있다고 소개했다.

또 반도체 시장 양극화가 일어나고 있다면서, 상위 5개 기업들이 메모리 시장을 지배하는 가운데 매출 둔화에 따른 수익성을 높이고자 지적재산권 투자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향후 4년 간 반도체 시장이 성장 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포드 부사장은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 5G 등이 서로 보완하고 성장하면서 세상을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했다. 또 사물인터넷 기술 혁신으로 700억개 이상의 기기가 연결되면서 사생활 보호 등 보안 이슈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포드 부사장은 “5G 기술이 4G와 함께 발전하면서, 한국이 일본과 함께 경쟁하면서 5G 시대를 이끌 것”이라면서 “도코모, SK텔레콤, 소프트뱅크가 3대 기업으로서, 프리5G 확장이 이뤄지면서 파괴적인 5G 시장 경쟁 확산으로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도환 KISDI 원장 “저성장 가운데 ICT 역할 중요”

김도환 KISDI 원장이 세계적인 저성장 속에서 ICT 중심 대응 전략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김도환 원장은 4차 산업혁명 소용돌이 속에서 한국의 ICT를 전망할 수 있는 각종 지표들을 소개했다.

먼저 김 원장은 IMF 발표 자료를 인용, 세계 경제가 올해 3.1% 성장하고, 내년 3.4% 저성장이 예상되는데 우리나라도 한국은행에 따르면 2% 저상장이 예측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요인으로 중국 성장 둔화와 미국 금리인상, 영국의 브렉시트 영향 등을 꼽았다.

이에 김도환 원장은 ICT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여 우리나가 세계적인 저성장 기조 가운데에서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원장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ICT산업 부가가치는 148조원으로 실질 GDP의 10.1%를 차지했다. GDP 성장률 기여도에 있어 ICT가 차지하는 비중은 줄고 있지만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ICT가 차지하는 셈이다. 특히 스마트폰,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하드웨어 분야와 통신 인프라 부문에서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

4차 산업혁명 가운데서, 우리나라의 대응 수준은 선진국 대비 낮은 편이다.

하지만 김 원장은 소프트웨어 부문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불과 1%대라는 점에 아쉬움을 표했다. 이미 2002년 소프트웨어 부문이 하드웨어 부문을 추월했는데, 우리나라의 성적표는 매우 부끄러운 수준이란 설명이었다.

김도환 원장은 올해 ICT 산업 생산의 내수와 수출 동반 부진으로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된다면서 중장기적으로 해외생산이 늘고, 중국의 추격으로 저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통신, 방송, 휴대폰, 반도체, 디스플레이 패널, 소프트웨어 전분야에 공통된 분석이었다.

관련기사

김 원장은 “세계 경제 침체가 장기화 되고 있지만, ICT가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ICBM 데이터 활용 기술이 4차 산업혁명의 동력이 될 텐데, 초연결 환경에서는 지능정보기술에 의한 혁신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제조뿐 아니라 금융, 의료, 법률 등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서 지능정보기술이 스며들 것”이라며 “이에 따른 일자리 변화와 사람들의 생활 자체도 크게 뒤바뀔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아가 그는 미래부 등 정부가 추진 중인 소프트웨어 중심 전략, K-ICT 전략, 범정부 차원의 지능정보사회 국가 전략 등을 소개한 뒤 “이를 뒷받침할 규제 정비와 인재양성”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