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벼른 갤노트7 홍채기술...삼성, 판을 갈다

고도의 개인식별 기능, 공인인증서 없이도 계좌이체

홈&모바일입력 :2016/08/03 16:14    수정: 2016/08/03 16:17

“홍채인식 기능을 완벽하게 준비하는데 5년이 걸렸다.”

삼성전자 미국법인의 저스틴 데니슨 상품전략담당 상무가 3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갤럭시노트7 언팩 무대에서 홍채인식 기능 도입에 상당한 노력을 쏟아부은 사연을 털어놨다.

5년이란 시간은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이 현 궤도에도 오르기 한참 전이다. 그동안 이 기능을 회사 전략 판매 제품에 자신있게 탑재하기 위해 치밀한 준비와 과정이 필요했다는 뜻이다.

그동안 편리하고 안전한 모바일 기기 이용과 핀테크 시대의 도래에 맞서 강력한 생체인증 수단 논의는 꾸준히 이어져왔다. 스마트폰 이전부터 생체인증에 대한 관심은 IT업계를 넘어 산업 전반에서 논의돼 온 것이 사실이다.

특히 홍채인식은 출입국 관리와 같은 일부 특수 용도로 쓰이기도 했지만, 갤럭시노트7처럼 광범위한 대중을 대상으로 한 제품이나 서비스는 없었다. 아무 기업이나 도입하기에 만만치 않은 기술이고, 생체정보를 다루는 만큼 강력한 보안 알고리즘도 필수적이다.

때문에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에 홍채인식 기능을 도입하면서 자체 보안 플랫폼 녹스(Knox)를 고도화시켰고, 안전한 보관을 위해 별도의 보안 폴더 기능까지 구축하는 세밀한 노력을 기울였다.

■ 홍채 정보 개인 식별 기술이 뭐길래

홍채(Iris) 인식 기술이란 개인마다 지니는 고유한 안구의 홍채 정보를 이용한다. 동공을 통해 빛을 조절하는 근육 조직인 홍채는 출생 이후 3세 이전에 형성되고 변하지 않는다. 유전적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쌍둥이도 서로 다른 홍채 정보를 가진다. 한 사람의 왼쪽과 오른쪽마저 홍채 정보가 다르다.

‘눈의 지문’이라고 불리는 홍채 정보는 이처럼 정보의 유일성(唯一性)이 뛰어나다. 렌즈를 바라보기만 하는 비접촉식 방식에 위조나 복제가 사실상 불가능한 고도의 보안성으로 지문이나 지정맥, 음성 등을 제치고 생체인증 방식 중 최고 기술로 꼽혀왔다.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범죄자의 홍채 정보를 수집하려는 것만 보아도 뛰어난 개인식별 기술이라는 사실을 엿볼 수 있다.

삼성을 포함해 여러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홍채인식에 앞서 지문인식 센서를 탑재해왔다. 터치가 주요 조작인 스마트폰에 딱 맞는 기능이지만 땀이나 먼지에 인식률이 급격히 떨어진다. 목욕을 하고 난 뒤 물에 불은 손가락으로 스마트폰을 켜지 못했다는 웃지못할 이야기도 많이 나왔다.

지문인식이 먼저 모바일 기기에 도입된 뒤 홍채인식 논의가 이어졌다. 다만 고가의 센서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보안 플랫폼이라는 선결 과제 때문에 쉽사리 도입하지 못했다. 일본 후지쯔와 같은 회사가 소량의 스마트폰을 출시하긴 했지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

그러다 이후 5년간 준비했다는 삼성전자의 태블릿 제품으로 갤럭시노트7에 앞서 홍채 인식 기술이 수면 위로 드러났다. 지난 5월 인도 시장을 겨냥한 ‘갤럭시탭 아이리스’가 주인공이다. 현지 정부가 주도하는 ‘디지털 인디아’ 정책에 맞춰 여권발급, 납세, 헬스케어, 교육 등의 정부 업무 조건을 충족시키는 수준까지 도달한 셈이다.

■ 바라보기만 했는데, 갤노트7 '삼성패스' 호평

갤럭시노트7은 홍채인식 기능 도입과 함께 ‘삼성패스’라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새롭게 탑재했다. 하드웨어 부품 공급망에서 노출될 수 있는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발표 이전까지 한번도 공개된 적 없는 내용이다.

삼성패스는 사용자가 홍채인식을 이용, 각종 웹사이트 로그인이나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모바일 뱅킹을 이용할 때 공인인증서나 OTP, 보안카드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갤럭시노트7 언팩 이후 국내 소비자들의 각광을 받고 있는 부분이다. 사실 공인인증서는 노이로제에 가까울 정도다. 그런 국내 인터넷 환경에서 볼 수 없던 홍채인식 기반 삼성패스가 호평을 받는 이유는 당연하다.

비대면 인증 방식으로 각종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손쉽게 로그인이나 계좌 이체가 가능해지고, 보안 강도는 더욱 높아졌다. 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등 금융기관은 협력 조율을 마쳐가는 단계다.

관련기사

따라서 삼성패스가 홍채인식의 성공적인 스마트폰 데뷔 축포를 쏘아올릴 전망이다. 국내뿐만 아니라 삼성전자는 미국의 금융권과도 협력을 조율 중이다. 이밖에 홍채인식 기반 새로운 서비스가 다음 스마트폰에서는 어떻게 구현될 지도 기대되는 부분이다.

당장 경쟁사들은 더욱 바빠지게 생겼다. 각국 제조 부품 공급망에서는 올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중화권 제조사들이 홍채인식 스마트폰에 심혈을 기울이고, 애플 아이폰은 2018년께 도입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