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늪' 벗어난 구글…공정이용 뭐길래?

미국 저작권법 107조…학술인용 등엔 면죄부

컴퓨팅입력 :2016/05/27 09:13    수정: 2016/05/27 09:18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 기자 페이지 구독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구글이 자바 API 저작권을 무단 도용했다. 그런데 저작권 침해 행위는 아니다.

26일(현지 시각) 미국 샌프란시스코 지역법원 배심원들이 내놓은 평결을 두 문장으로 요약하면 저렇게 된다.

이번 소송은 지난 2014년 항소법원이 구글의 자바 API 저작권 침해 판결과 함께 파기 환송한 재판이었다. 따라서 구글의 저작권 침해는 더 이상 논쟁의 여지가 없는 사안이었다.

그런데 구글은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았다는 면죄부를 받아냈다. 어떻게 이런 평결이 가능했을까?

에릭 슈미트 알파벳 회장. 썬에서 재직했던 슈미트는 이번 재판에서 구글이 공정이용을 인정받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미국 저작권법에선 네 가지로 규정

그 비밀은 미국 저작권법 107조에서 찾을 수 있다. 107조는 저작권 침해 혐의로부터 면제받을 수 있는 네 가지 경우를 규정해 놓고 있다.

이를 저작권법에선 ‘공정이용’이라고 부른다. 사실상 저작권법 107조는 이번 재판의 근거 조항이나 다름 없엇다.

107조에선 공정 이용 판단 기준으로 크게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1. 이용의 목적과 성격 (비영리 목적이나 보도, 학술 인용)

2. 저작물의 특성

3. 이용 분량과 함께 전체 저작물에서 어느 정도로 핵심적인 부분이었냐는 점

4. 저작물 이용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

위 네 가지 경우엔 남의 저작물을 그냥 가져다 쓰더라도 큰 문제가 없다는 의미다. 학술논문이나 문학 평론에 저작물의 일부를 그대로 옮기더라도 침해행위가 성립되지 않는 건 이 조항 때문이다.

물론 이 때도 한계는 있다. 3항에 따라 지나치게 많이 인용할 경우엔 침해 행위가 성립될 수도 있다. 원 저작물을 볼 필요가 없을 정도로 많이 인용하는 건 곤란하다는 취지다.

이번 배심원 평결에선 107조의 네 가지 조건 중 어느 쪽에 방점을 찍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일반인으로 구성된 배심원들은 구체적인 평결 이유를 공개할 의무는 없다.

따라서 구체적인 법적 논리에 대한 공방은 오라클이 제기할 항소심에서 본격적으로 제기될 가능성이 많다.

■ 항소심 열릴 경우 '변형적 이용' 핵심쟁점 될 듯

앞으로 이어질 재판에선 공정 이용 조항 중 특히 1번 항목이 중요한 쟁점이 될 가능성이 많다. 구글이 자바 API를 이용한 목적이 뭔지, 또 이를 통해 시장에 어느 정도 기여했는지가 핵심 쟁점이란 의미다.

특히 중요한 개념은 ‘변형적(transformative)’ 이용이다. 변형적 이용이란 ‘원 재료를 인용해 획기적으로 새로운 것을 만들어냈느냐’는 부분이 핵심적인 판단 기준이다.

관련기사

실제로 구글과 오라클은 배심원 재판 때 이 부분을 놓고 열띤 논리 경쟁을 벌였다. 구글은 안드로이드가 자바를 활용한 변형적 제품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오라클은 “모바일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지름길을 택한 데 불과하다”고 맞섰다.

미국 저작권법에선 “좀 더 깊이 있는 목적이나 다른 캐릭터 등으로 새로운 것을 덧붙이거나, 새로운 표현 의미 메시지 등으로 기존 저작물을 변형했을 경우” 변형적 사용을 한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구글이 자바 API를 이용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냈을 경우 ‘변형적 이용’을 인정받게 된다.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sini@zd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