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레노버, EMC 동맹에 의존 않겠다?

강용남 대표 "자체 스토리지 활용 강화"

컴퓨팅입력 :2015/09/22 16:17    수정: 2015/09/22 17:31

레노버가 EMC와의 협력을 전제했던 엔터프라이즈 사업 전략을 수정했다. EMC가 아닌 레노버 자체 스토리지 솔루션을 통해 자사 x86 서버 제품 공급을 가속하는 방향으로 노선을 틀었다.

연초 레노버는 기존 엔터프라이즈 분야 영향력이 큰 IT업체와의 협력을 예고했다. 지난해 1월말 IBM x86서버와 EMC 스토리지를 합친 통합시스템 출시를 예고해 관심을 모았다. 이는 엔터프라이즈시장에 형성된 '중저가' 이미지를 벗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됐다. (☞관련기사)

이어 한국레노버도 지난 2월말 국내 사업 계획을 언급하는 자리에서 EMC 스토리지와의 협력 방향을 제시했다. 강용남 한국레노버 대표는 당시 국내 공급하는 '플렉스시스템'의 스토리지 구성에 변화를 예고했다. IBM 제품 위주인 OEM 공급 라인을 확장해 EMC 스토리지도 취급하겠다는 내용이었다.

한국레노버는 그로부터 7개월만인 22일 서울 역삼동 사무실에서 국내 서버 및 스토리지 신제품 출시 간담회를 열었다. IBM x86 서버가 아닌 자체 브랜드 '씽크서버'와 레노버 자체 스토리지 장비를 소개하는 자리였다. 올초 본사와 한국지사가 EMC와의 협력을 전제했던 OEM 확대 계획은 어떻게 됐을까.

강 대표의 설명을 옮기면 다음과 같다.

"(통합시스템 사업 전략 차원에서 예고했던 EMC와의 스토리지 부문 협력은) 더 이상 진행되고 있지 않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상세 내용을 밝히기는 어렵다. 다만 EMC 쪽 제품보다는 우리(레노버)쪽의 스토리지 제품을 활용해 제공하는 방향으로, 로드맵이 일부 수정된 상태다."

강용남 한국레노버 대표. 2015년 9월 22일 서울 역삼동 사무실 간담회에서 씽크서버와 자체브랜드 스토리지 신제품 출시 전략과 국내 시장 현황을 설명했다.

이해는 된다. EMC는 연초 구조조정을 겪었고, 상반기동안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을 문제삼은 '엘리엇매니지먼트'의 경영 간섭에 시달려 왔다. 하반기 들어서는 자회사 VM웨어에 인수되는 하류합병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증권가 루머에 시달리는 중이다. (☞관련기사)

레노버 입장에선 EMC와의 협력에 따른 셈법이 복잡해지기에 충분했다. EMC는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스토리지 거인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고, 최근 실적은 못해도 현상 유지 수준이다. 다만 외부의 시선에서 볼 때 불확실성이 높은 상대라, 확고한 전략적 동맹 상대로 삼기에는 재고할 여지가 많다.

이런 국면에서 레노버에게 안전한 선택은 자체 서버와 스토리지 브랜드를 살리는 길이다. 한국레노버의 이날 간담회 자리가 그랬다. 한국레노버는 그간 국내에 들이지 않았던 '씽크서버' 제품군과 자체 SAN스토리지를 소개하며 기존 제품군 확대를 통한 고성장 전략을 추진하겠다는 메시지를 강조했다.

강 대표는 특히 "시스템x 구성 모델과 겹칠 수 있는 일부 씽크서버 랙서버 모델은 국내 출시하지 않고 메인스트림, 중급 및 볼륨서버 성격 모델 제품을 이번에 내놓은 것"이라며, 앞서 IBM으로부터 넘겨받은 x86서버 사업과 시장에서 실질적으로 충돌하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에 공을 들였다.

시스템x 브랜드는 범용 미드레인지와 하이엔드 서버, 클라우드인프라, 가상화, OEM, HPC 제품으로 구성됐다. 씽크서버는 저사양과 중급, 중소기업(SMB)용, 볼륨서버, 하이퍼스케일 인프라, 범용 타워 및 랙서버류다. 미출시 모델인 RD650, 550서버가 시스템x의 x3650, x3500 M5 모델과 비슷하다.

관련기사

새삼 강조된 레노버의 자체브랜드 강조는 후견인 IBM으로부터의 독립 성공 여부와 직결된다. 레노버는 IBM의 메인터넌스 체제와 브랜드 없이도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시장 입지를 키워갈 수 있을까? 같은 물음은 서버뿐아니라 레노버의 스토리지 전략에도 던질 수 있다.

레노버는 IBM이 생산하는 스토와이즈V3700를 OEM 방식으로 독점 판매해 왔다. 그런데 오늘 한국레노버는 '레노버SAN스토리지' 브랜드로 S2200과 S3200 모델도 출시했다. 전자는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후자는 일반 웹 등으로 역할을 분담했지만, 둘이 영원히 상호보완 관계로 남으리란 보장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