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교육, 아이패드는 도구일 뿐...협동이 핵심"

중고교 특수학급 교사 겸 SW개발자 원재연 씨 인터뷰

컴퓨팅입력 :2015/05/27 08:49

고등학교 선생님이 아이패드를 활용한 체험형 수업을 통해 장애학생들의 소통과 학습을 도운 경험을 공개했다. 지난해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고등학교에서 특수학급 학생들을 가르친 원재연 교사의 스마트교육 체험사례다.

원 교사는 몇년째 수업에 아이패드와 PC, 스마트폰 기기와 각종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동원한 체험학습을 운영해 온 '디지털 친화적' 선생님이다. 수업에 리틀비츠같은 조립형 회로기판을 활용할 뿐아니라 아두이노 기판 제작과 프로그래밍을 직접 하는만큼 '소프트웨어(SW) 개발자'이기도 하다.

그가 일했다는 오남고는 도농복합지역 재학생 1천300명 가량의 인문계 고교다. 주로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 학생으로 구성된 20명 안팎의 특수학급 학생들이 일반학급 학생들과 함께 공부 중이다. 원 교사는 이들 특수학급 학생들을 맡아 지도했다.

원 교사는 3년 전부터 다양한 체험형 수업을 기획하고 거기에 필요한 스마트기기를 도입했는데, 유용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이 많은 아이패드를 주로 활용했다고 한다. 그는 자신이 개인적으로 구입한 기기와 그가 당시 교장을 설득해 추가 구입한 기기를 모두 활용해 수업을 진행했다.

오남중학교 원재연 교사

"당시 스마트기기로 학생들 스스로 수업을 만들어가고 적극 참여하는 교육할동이 됐습니다. 주로 '국영수'처럼 학생들에게 부족한 기초교과 위주 수업, 장애학생에게 적합한 직업교육을 진행했어요. 지금 학교(오남중)에선 증강현실(AR) 앱 활용이나, 바리스타와 제과제빵 등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오남고 특수학급 학생들이 아이패드로 진행한 체험형 수업을 요약하면 ▲앱과 SNS를 활용한 미션 수행-직업 실습 ▲아이포토와 아이무비를 이용해 체험학습과 그 기록을 편집하며 복습 ▲아이패드의 공유기능(미러링, 에어플레이, 에어서버, 리플렉션) 기능으로 그룹간 발표 등이다.

"예를 들어 외부 현장체험학습을 할 땐 '홍유릉(고종순종 무덤)' 석상 종류나 '홍살문'을 찾아 인증샷을 찍어 교사에게 보내라든지, 동구릉 9개 능을 이동할 땐 한국관광공사에서 만든 앱('유네스코')의 AR 기능을 내비게이션으로 활용하게 했죠. 영상편집과 복습을 위해 활용한 앱은 '스플라이스'라는 간단한 편집용 앱이 있는데 이게 디테일함을 요하는 영상이 아니라 짧은 시간 안에 쉽게 활동 결과물을 만들기에 적합했어요. 그룹간 발표와 소통을 위해서 아이패드뿐아니라 학생들의 스마트폰도 필요에 따라 활용했고, 아이들에게 익숙한 카카오톡을 쓰기도 했습니다."

원 교사가 아이패드를 주 사용기기로 낙점한 이유는 그게 장애학생들이 쓰기 편리하고 유용한 앱, 외부 현장 체험식 학습에 유리한 이동성과 휴대성, iOS 기기에서 지원하는 콘텐츠 공유기능을 갖췄다는 판단에서다.

"시작할 땐 정보가 많지 않았어요. 누구나 기기의 앱을 수업에 활용하면 좋겠단 생각을 할 때 저는 이걸 교실에서 실천해보려고 노력했어요. 장애학생들에게 즐거움과 참여 동기를 만들어 주고 장애의 특성을 보완해줄 수도 있겠다 싶었죠. 연구해보니 기능과 관리 편의성이 좋아 아이패드를 쓰게 됐죠. 아이패드 외에 다른 기기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지만 제가 쓰고 싶은 앱이 아이패드용으로 있었기 때문이에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같은 경우는 어떤 기기로도 활용할 수 있죠. 실제로 PC를 활용하기도 했어요. 에버노트 앱을 활용해 신문스크랩을 한다든지 하는 신문활용교육(NIE)을 했죠."

하지만 원 교사는 수업에 대한 참여뿐아니라 소통에 방점을 찍었다. 수업에 무슨 기기나 기술을 쓰든 중요한 건, 학생간 협력과 소통을 유도해야 진정한 스마트교육이 된다는 게 그의 입장이다. 그가 얘기하는 수업에서의 소통이란 뭘까.

"수업시간내 소통을 얘기한 겁니다. 일방적인 게 아니라 학생과 교사가 함께 '수업을 주고 받는' 거죠.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만들어 주는 데 스마트기기의 SNS 앱을 활용했어요.

원재연 교사가 운영한 스마트교육 활동 현장사진. (왼쪽)증강현실 앱과 (가운데)전기회로 응용수업과 (오른쪽)신문활용교육 모습.

가르치는 사람이 좋다고 아이패드를 쓰더라도 정작 학생들이 수업 내용에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면 소용이 없었을 터. 원 교사가 느끼기엔 오남고 특수학급 학생들에게도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이 기존보다 흥미를 유발하기에 충분했고 적극적으로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변화의 촉매였다.

"학생들에게 '즐거움'과 '내가 하고 싶은 걸 하는 것'만큼 좋은 게 없는 것 같아요. 수업뿐아니라 모든 일이 마찬가지겠죠. (아이패드를 활용한 수업이 잘 운영되려면) 단순히 기기 활용이 재미있어서라기보단 생각과 인식의 전환, 이를 통해 달라진 마음가짐, 그에 따른 행동과 모습의 변화가 일상에서 나타나느냐가 관건일 거예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의 변화, 기기를 통한 학생들의 내적 변화에 초점을 두는 게 맞죠. 스마트기기가 흔히 게임이나 전화 용도로 쓰인다고 인식되지만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겠구나, 학생들이 수업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적절한 촉매제가 됐구나 생각해요."

한 가지 눈에 띄는 사실. 원 교사의 수업에서 아이패드는 '개인용 단말기'가 아니었다. 수업 당시 20명 남짓한 오남고 특수학급 학생들은 1인당 1대가 아니라 그룹당 1대의 아이패드를 지급받아 수업을 진행했다.

"기기는 수업시 필요할 때만 주고 쓰도록 했어요. 프로젝트 수업 형태로 집에서도 과제를 하는 단계라면 장기간 지급을 하겠지만…굳이 1인 1대까지는 필요 없다고 봤습니다. 학생들이 뭔가 배우고 습득하는 데 필요한, 수업을 돕는 여러가지 보조 도구 중 하나일 뿐이니까요. 수업에선 가위와 풀을 서로 돌려가며 쓸 수 있듯 아이패드도 충분히 그렇게 사용될 수 있죠."

기기를 모든 학생에게 일일이 지급하지 않은 건 원 교사의 철학 때문이었다.

"(스마트교육에서도) 모둠 단위의 협력 학습이 매우 중요합니다. 모둠 단위로 학습도구를 지급하고 함께 과제를 수행하는 협력, 협동 학습이 이뤄지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이 과정 속에서도 소통이 이뤄지는 것이고요. 이게 학교에서부터 이뤄져야, 사회에서도 직장에서도 팀을 이뤄 올바른 소통을 할 수 있고 일의 능률 향상을 가져올 거라고 봐요."

현재 원 교사는 오남고를 떠났지만 당시 경험을 다시 활용 중이다. 오남고와 성격이 비슷한 오남중학교에서 3명의 특수학급 학생들과 공부를 하면서, 아이패드와 앱뿐아니라 여러 디지털기기를 활용한 스마트교육을 진행 중이라는 설명이다.

원재연 교사가 아두이노 프로그래밍과 아이패드를 활용해 개발한 수업보조 로봇 '짐봇'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에게 국영수 과목 위주로 기초학력향상을 위한 수업을 하고 있어요. 직업교육도 하고 있고요. 체험형 직업교육 실기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아이패드를 활용하고 있죠. '리틀비츠'라는 교구를 통해 아이들의 창의력 향상과 재미있는 수업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요즘은 SW교육이 대두되고 있어서 관련 하드웨어 교육도 시도하고 있어요."

원 교사가 언급한 리틀비츠는 어린이를 비롯한 비전문가를 위한 회로제작용 기판을 가리킨다. 이는 레고블록같은 모듈을 조립해 스스로 전자회로를 구성하고 사물을 움직이게 만들 수 있도록 해주는 플랫폼이다.또 그가 시도하고 있다는 하드웨어 교육은 프로그래밍 가능한 회로기판 '아두이노'를 가리킨다. 아두이노는 다양한 센서나 부품을 연결하고 코딩을 통해 그 동작을 완성할 수 있는 반면 리틀비츠는 코딩 없이 결과물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이다.

"요즘 아두이노가 화두입니다. 아직은 우리나라 교육계에서는 걸음마 단계지만 이쪽에 관심이 깊은 전국 선생님들은 (아두이노를 활용한) SW교육을 현장에서 실시하고 있죠. 특수학급학생들이 직접 코딩을 하기엔 좀 무리가 있어요. 초등학교도 마찬가지죠. 대안으로 쉽게 학생들이 SW와 친해질 수 있고 하드웨어 이해도를 높여 줄 리틀비츠를 활용해요. 특수학급과 같은 장애학생들이 재미있게 함께 공부할 수 있어요."

관련기사

실은 원 교사 스스로가 아두이노 개발자이기도 하다. 그의 아두이노 작품 역시 자신의 학생들이 참여하는 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도구로 만들어지고 있다.

"지금 개인적으로 만들고 있는 건 강당에서 수업을 보조하고 활용할 수 잇는 로봇입니다. 이 로봇에 아이패드를 연결하려고 해요. '고프로'라는 액션캠을 아이패드로 움직여서 수업 영상이나 자세를 찍어서 활용하려고요. SW교육과 아이패드의 만남이죠. 짐봇(Gymbot)이란 이름을 붙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