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표원, 해외 환경규제 대응 전략 마련

일반입력 :2015/03/26 11:00

이재운 기자

정부가 국내 기업들이 선진국의 환경규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대응 전략 마련에 나섰다.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국내 유가증권시장(KOSPI) 상위 200개 기업인 코스피200 편입 기업의 환경경영 활동을 분석하고 국내 기업에 필요한 표준화 방향을 도출, 필요한 지원과 선제대응 가이드 등을 담은 ‘환경경영분야 표준화 중장기 전략’을 27일 공개한다고 밝혔다.해당 전략은 국제환경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이를 위하여 관련 표준을 활용해야하는 국내기업 및 기관들과 중장기 전략을 공유하고 의견을 수렴하기 위함이라고 국표원은 설명했다.유럽연합(EU) 등 선진국들이 국제표준 제정을 주도하면서 표준을 인증, 법제화 등의 방법으로 환경규제로 활용할 것이 예상되나, 아직까지 표준 활용기반이 부족한 우리기업에는 새로운 무역기술장벽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는 판단에서다.전략 내용에는 글로벌 수준 환경경영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국표원 주도 표준 컨트롤타워 역할 강화를 통한 부처 의견조율로 선진국 주도 국제표준화 대응 ▲국제표준의 KS 신속도입 및 표준 활용 해설서 개발과 보급 ▲코스피200 기업 분석으로 도출한 10개 표준화 아이템에 대한 국제표준화 주도 ▲국제표준 기반 환경규제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한 선진 인증체계 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국표원에 따르면 코스피 200기업을 분석한 결과 67.5%가 ‘환경경영시스템’, ‘온실가스 감축 및 배출관리, ’공급망관리‘ 등 기업경영과 관련된 환경경영을, 57%가 ’환경라벨링‘, ’에코디자인‘과 같은 제품기반의 환경경영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특히 국내기업이 실시하고 있는 ’친환경 공급망 경영 시스템‘과 ’에코디자인’ 등은 국제표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국내기업에 유리하게 국제표준화를 주도하면 국제환경규제를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국표원 관계자는 “중장기 전략의 세부실행계획 이행을 통해 국내기업이 선진국의 환경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친환경시장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내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라며 “기후변화, 수질 오염 등 전지구적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 중 기업의 환경경영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