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창업 지원 열풍…현장서 원하는 건 뭐?

“지속적인 관리와 운영 중요”·“민간 주도 생태계 조성돼야”

일반입력 :2015/03/05 14:00

스타트업 등 벤처·창업 관련 지원책들이 다양하게 쏟아지면서 미래의 국내 경제 성장을 견인할 내실 있는 벤처기업들이 육성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현장에서는 단순한 지원금 지급과 공간 제공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단기 성과주의에서 벗어난 효율적인 운영 및 지속적인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분위기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와 기업, 전문성을 갖춘 벤처 캐피탈 등이 실리콘밸리 못지않은 건전한 국내 벤처 생태계를 조성하고, 유망한 스타트업 발굴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들을 발표하고 있다.

중소기업청은 최근 경제혁신 3개년 개획 업무보고를 통해 서울 테헤란로 일대에 벤처·창업 클러스터인 ‘하이테크 창업 캠퍼스’를 설립한다고 밝혔다. 중기청은 오는 6월 역삼역 인근 4~5개 빌딩 등 총 1만㎡ 규모로 창업 캠퍼스를 조성, 2017년까지 엔젤 투자사와 160여개 창업팀을 입주시킨다는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초기 창업지원 전문회사와 협력해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 팀별로 최대 3년간 10억원을 연구개발비로 지원할 방침이다.

얼마 전 중기청과 한국벤처투자는 세계적 액셀러레이터인 미국 500스타트업과 100억원 규모의 액셀러레이팅 펀드를 조성하는 양해각서(MOU)를 교환하고 국내 유망 창업기업 발굴 및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최근 중소 스마트·모바일 콘텐츠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돕는 토론회를 열고 2017년까지 매출액 규모 10억원 이상의 스마트·모바일 스타기업을 30개 육성한다고 발표했다.

스마트·모바일 콘텐츠기업이란 스마트폰·스마트TV 등 스마트기기를 매개로 제공되는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며, 대표적으로 앱·웹툰·이러닝·전자책·여행·패션 등이 있다.

정부는 지난 2012년부터 매년 스마트콘텐츠 강소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해 왔으나, 평균 1억원 수준의 매출에 그치는 한계를 드러냈다. 이에 개편안을 통해 영세성을 극복한 10억원 이상의 기업을 30개 육성하기로 했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을 선정해 성장단계별로 지원금을 지급하고, 지원항목도 기업이 선택하도록 했다. 또 지원 기간도 1년에서 최대 3년으로 늘렸다. 올해 지원 예산은 65억원이다.

기업들도 스타트업 지원에 적극적이다. 네이버는 오는 4월 강남역 메리츠타워 1층에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팅 센터’를 오픈한다. 네이버는 이곳에서 아이디어나 아이템만 갖고 있는 신생 스타트업 중 유망 기업을 선정해 사무실과 마케팅, 투자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다음카카오도 1천억원을 투자해 벤처투자 전문회사인 ‘케이벤처 그룹’을 설립, 글로벌 모바일 시장 환경에 적극 대응하고 벤처 생태계에 기여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 회사는 공격적인 투자로 실리콘밸리 벤처 생태계와 같은 벤처 생태계를 만드는 데 주력한다는 구상이다.

구글 역시 올 4월 중순 경 구글 캠퍼스 서울을 개관한다. 이에 앞서 빈브라더스·마루180·500스타트업 등과 파트너를 맺기도 했다. 구글 캠퍼스 서울은 신생기업들이 글로벌 무대로 진출할 수 있도록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500스타트업스은 캠퍼스 서울에 입주해 한국 신생기업들이 실리콘밸리와 인맥을 쌓는 교두보 역할을 하게 된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스타트업과 벤처·창업 열풍이 부는 배경에는 정부가 강조한 ‘창조경제’가 보탬이 됐다. 정부의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핵심 중 하나는 대대적인 창업 지원을 통한 스타트업의 부흥이다. 이에 정부는 2017년까지 여기에 3조9천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각종 규제를 철폐하고, 정부가 직접 나서 스타트업 지원 공간 마련 및 지원금을 지원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

연장선에서 최근 미래부는 벤처·창업 관련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파악하고자 8개 부처 차관들과 함께 창업 관계자들의 현장 의견을 직접 듣는 토론회 자리도 마련했다.

이 자리에서 고영한 한국엔젤투자협회장은 다양한 창업지원 제도를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또 김서준 노리 대표는 정부의 지원 사업들이 초창기 기업에만 집중돼 있다는 문제를 지적했으며, 박소영 페이게이트 대표는 창업가를 대상으로 한 기본적인 소양 교육의 필요성을 건의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아산나눔재단의 마루180 정남이 팀장은 청년 창업 지원 담당자들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업무의 연속성을 위해 잦은 부서 이동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 자금 지원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개진됐다.

임정욱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센터장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정부와 여러 기관의 직접 지원이 스타트업을 시작하는 사람에게는 도움이 된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라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정부보다 민간이 주도하는 벤처 생태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