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암전이 제어 신기술 개발

암세포 혈액 내 생존·순환 제어로 암전이 억제

일반입력 :2015/02/11 12:00

서울대 연구진이 암전이 유발 막단백질(TM4SF5)의 암전이 능력 제어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원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에서 서울대 이정원 교수 연구팀은 간암세포에 많이 존재하고 간암세포로 하여금 암줄기세포의 성향을 갖게해 다른 장기로 전이되도록 촉진하는 막단백질이 혈액 속에서 생존하고 순환하도록 하는 세포신호전달 체계를 규명했다.

연구팀은 간세포가 장기적인 손상이나 염증 등으로 섬유화되거나 암화되면, 막단백질이 과다하게 발현돼 간질환 심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지난 2008년, 2012년에 각각 밝혀냈다. 연구팀은 막단백질 TM4SF5가 다른 막단백질 CD44과 결합이 가능한 세포(TM4SF5와 CD44를 발현하는 세포)를 간에 직접 찔러 암이 형성되도록 하면, 그 암덩어리로부터 이탈한 전이능력을 가진 암세포들이 6주가 경과되어도 혈액 속에 살아남아 다른 장기로 전이되고 소수의 세포라도 자가 재생을 통해 전이암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또한 연구팀은 TM4SF5나 CD44가 서로 결합하지 못하거나 각각 생합성(혹은 발현이 억제)되면, 암줄기세포로서의 성향이 나타나지 않아 혈액 속에서 살 수 없고, 자가복제능력이 떨어지게돼 다른 장기에서 전이암을 형성하지 못함을 규명했다.

특히 연구팀이 TM4SF5의 억제제로 자체 개발한 약물(TSAHC)이 TM4SF5와 CD44의 결합을 저하시켜 암줄기세포 성향과 암전이 능력 억제를 증명했다.

관련기사

서울애 이정원 교수는 “이 연구는 간섬유화 및 간암에 대해 지난 10여 년간 꾸준히 수행한 결과의 일환으로, 암전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TM4SF5가 다른 막단백질과 결합, 상호작용하는 신호체계를 제어하면 암전이를 억제할 수 있음을 증명해, 향후 간섬유화 및 간암 치료제 등에 적극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간과 관련된 의약학 분야 권위지인 Hepatology 온라인판(1월 27일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