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헌 “웹툰, 유튜브 제친 대표 콘텐츠”

부산 ITU 전권회의 ‘글로벌 리더스 포럼’ 강연서 소개

일반입력 :2014/10/27 17:20    수정: 2014/10/27 17:21

“인터넷 플랫폼의 등장으로 정보를 생산하던 권력과 소비하던 대중 사이의 경계가 허물어졌다.”

김상헌 네이버 대표가 27일 ITU 전권회의의 프리미어 포럼 중 하나인 ‘글로벌 리더스 포럼’에서 인터넷이 새로운 콘텐츠 플랫폼으로서 가진 가능성에 대해 이같이 말하고, 정보를 만들어내는 주체가 된 이용자를 인터넷이 가져온 가장 근본적인 변화로 꼽았다.

이어, 2002년 시작한 지식iN과 이듬해 나온 블로그와 카페 서비스를 사례로 언급하며, 네이버는 일찍부터 이용자들이 정보 생산의 중심이 될 수 있는 서비스에 집중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와 동시에 네이버는 전문 콘텐츠 영역에서 인터넷이 할 수 있는 역할에 관심을 가졌고 만화의 가능성에 주목했다고 언급했다.

글로벌 흥행에 성공한 영화의 30%가 만화를 원작으로 두고 있을 만큼 만화는 원천 콘텐츠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시장은 일본 만화 번역 출판이 주된 모델이었고 출판 만화의 쇠퇴와 함께 침체기를 겪고 있었던 시점이었다. 김 대표는 “이러한 만화 산업의 침체는 한국의 우수한 IT인프라와 두터운 만화팬 층이라는 독특한 국내 상황과 맞물리며 ‘웹툰’이라는 새로운 콘텐츠를 탄생시키는 배경이 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김 대표는 웹툰이 하나의 산업으로 성장한 것에 기여한 네이버의 역할을 강조했다. 도전 만화 코너를 통해 웹툰 작가 지망생들이 인기 작가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선순환 구조를 갖춘 웹툰 생태계가 조성됐고, PPS(Page Profit Share)라는 수익모델을 창출해 작가들에게 안정적인 창작환경을 제공했다는 것이다.

PPS는 웹툰 원고료 외에도 웹툰에 광고를 넣거나 파생 상품을 판매하는 등 다양한 수익 방법을 웹툰 작가가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수익 모델이다. 도전 만화 활동 작가 수는 14만명이며 네이버 웹툰 작가의 최고 수입은 월 7천800만원에 이른다. 하루 평균 웹툰 이용자는 약 620만명으로 국민 콘텐츠로 자리 잡았다.

관련기사

현재 웹툰은 유튜브로 대표되는 동영상과 음악을 제치고 국내에서 가장 사랑 받는 콘텐츠로 자리 잡았으며,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광고상품, TV프로그램, 출판 등에 폭넓게 활용되는 대표 콘텐츠로 성장했다.

한편, 김 대표는 이용자가 주체적으로 제작에 참여할 수 있는 인터넷 플랫폼의 가능성이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고 밝히며, 모바일 메신저 라인의 크리에이터스 마켓, 네이버 웹소설, 네이버 뮤직의 뮤지션 리그, 그라폴리오, 인디극장 등을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