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ICT 융합 ‘교두보’…CERN 11번째 티어-1

일반입력 :2014/04/28 12:00

한국의 정보통신기술(ICT) 기술로 고에너지 입자물리분야를 선도하는 국가로 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게 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8일 스위스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가 기초연구 실험데이터 글로벌 허브구축 사업을 수행하는 한국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을 CERN의 세계 11번째 최상위 데이터센터(Tier-1)로 인정했다고 밝혔다.

기초연구 실험데이터 글로벌 허브 구축사업(GSDC, Global Science experimental Data hub Center)은 세계적인 첨단 거대가속기 충돌로 발생하는 빅데이터를 확보‧처리함으로써 국내 물리연구자와 ICT 공학자가 공동 연구토록 미래부가 지원하는 사업이다.

스위스 CERN측은 한국의 KISTI가 그동안 강입자가속기(LHC) 실험에서 생성된 빅데이터를 처리하는 컴퓨팅 자원을 확보했고, 그리드 컴퓨팅(Grid Computing) 망 운영 경험을 높이 인정해 공식 인증서를 수여했다.

그리드 컴퓨팅은 ICT기반의 서로 다른 기종의 다수의 컴퓨터 자원을 하나의 고성능 슈퍼컴퓨터로 구성해 가속기에서 발생하는 페타바이트(Petabytes, 1015Bytes)급의 빅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이다.

그동안 국내 기초 물리학자와 IT공학자들은 지구 반대편에 위치한 스위스 CERN과의 물리적 접근의 어려움 때문에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SW) 결과물을 CERN측의 트래픽 사정에 따라 무작정 기다려 왔다.

미래부 측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고에너지 물리 연구자들은 한국의 티어–1을 통해서 어제 발생한 지구반대편의 데이터를 다음날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며 “시뮬레이션 SW결과도 바로 국내외 학술지에 신속히 제출할 수 있어 한국의 국가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관련기사

티어-1 센터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네덜란드, 케나다, 대만, 북유럽연합 등에 이어 한국이 세계 11번째 국가로 인증을 받은 것으로, 국제 전용회선 구축(2~3Gbps) 운영 능력과 저장 스토리지(자기테이프 2PBytes),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2천500개 Core) 및 시뮬레이션 SW결과물을 저장하는 하드 디스크(HDD, 1PBytes) 용량을 구비해야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미래부 측은 “한국의 젊은 연구자들이 자국의 최상위 데이터센터를 이용해 우주 탄생의 근원과 제2의 힉스 입자 발견과 같은 획기적인 연구성과 창출을 통해 한국의 노벨물리학상 수상 가능성을 앞당겨 줄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