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개발자 생태계 애플 앞설 해법은

일반입력 :2013/10/02 10:10    수정: 2013/10/02 13:18

삼성전자가 최근 외부 콘텐츠 공급자나 애플리케이션(이하 '앱') 개발자들과 공생관계 맺기에 나서, 내부 화두인 '생태계 조성'에 탄력을 더할지 주목된다. 이를 위해 제조업에서 다져온 속도 경쟁 노하우를 잠시 잊고 생태계에 참여할 외부 구성원들과의 신뢰 구축과 '밀당'이 필요한 시점이다.

업계에선 소프트웨어(SW)와 콘텐츠 생태계를 갖추는 것이야말로 소비자시장을 겨냥한 모바일과 스마트기기의 하드웨어(HW) 평준화 이후 제품과 서비스 차별화를 위한 역량으로 인식된다. 이는 박근혜 정부가 집권 초기부터 지상과제로 내건 대중소기업 상생 및 '창조경제'와도 맞물리는 화두다.

1일 삼성전자도 외부 참여자들과 함께 생태계를 키우기 위해 고심 중이다. 더 많은 개발자를 삼성전자 플랫폼에 영입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달말 미국서 여는 유료 개발자행사 '삼성디벨로퍼스컨퍼런스(SDC)' 또는 '삼성 데브콘'은 그 일환이다.

냉정히 보면 삼성전자 자체 행사는 아직 큰 관심을 못 받고 있다. 흥행 측면에선 그 추격대상 애플, 핵심 파트너 구글, 긴장 관계인 마이크로소프트(MS)의 행사만큼 성공적이라 보기 어렵다. 다만 삼성전자가 팔 걷고 콘텐츠와 SW생태계를 다지려는 방향 자체는 시의 적절하다는 평가다.

■애플 1등, 구글 2등, MS 3등, 삼성전자…4등(?).

IT컨퍼런스 순위를 매기자면 삼성전자는 3등 바깥으로 밀려나 있고, 회사가 스마트폰 제조부문에서 진작 따라잡았던 애플은 1등을 과시했다. 이 기준은 각 컨퍼런스 참가자들에게 필요한 시간과 비용, 그리고 각 주관업체별 티켓 매진 시점이다. 애플, 구글, MS 순으로 참가등록이 빨리 마감했단 얘기다.

애플은 지난 6월 중순 샌프란시스코 모스콘센터에서 연례 개발자 행사 '세계개발자컨퍼런스(WWDC)'를 열었다. 회사가 지난 4월26일 1천500달러에 판매한 티켓 6천장이 2분만에 매진됐다. 한 개발자 제보에 따르면 1분40초만에 다 팔려나갔다고 표현하는 게 더 정확하다.

구글이 주관하는 연례 개발자행사 '구글I/O'는 지난 5월 중순 역시 샌프란시스코 모스콘센터에서 열렸다. 그 참가 등록은 지난 3월13일 접수를 받았는데, 역시 6천장 티켓이 49분만에 모두 팔렸다. 등록비는 애플보다 저렴한 900달러였고, 300달러짜리 학생용 티켓도 한정 수량으로 판매됐다.

MS도 지난 6월 하순 샌프란시스코 모스콘센터에서 개발자행사 '빌드'를 진행했다. 행사 입장권 6천장은 일반 판매가 2천95달러 또는 선착순 500명을 위한 할인가 1천595달러라는 고가였음에도, 지난 4월2일 참가등록 3시간만에 더이상 접수를 못하게 됐다.

반면 삼성전자가 이달말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첫회 개막을 앞둔 SDC의 등록은 접수 5주째 마감되지 않고 있다. 티켓 판매가 시작됐다 하면 눈 깜짝할 새 참가자가 몰려 접속이 폭주한 뒤 결국 수천장이 '매진됐다'고 알리는 애플, 구글, MS 행사와 대조적이다.

SDC는 오는 27~29일(현지시각) 미국 샌프란시스코 유니언스퀘어 프랜시스호텔에서 열리는 삼성전자의 첫 단독 글로벌 유료 개발자 행사다. 지난 8월26일 시작한 참가접수 열기는 뜨겁지 않다. 등록비는 타사에 비해 훨씬 저렴한 299달러, 티켓 수량은 6분의 1에 불과한 1천장인데도 흥행에 실패했다.

■행사 진행 시점과 제한된 준비 과정 아쉬워

아직 삼성전자는 세계 개발자들을 겨냥한 첫 기술컨퍼런스로 인기몰이에 나설 만큼 플랫폼 사업 감각을 다지지 못했다. 따라서 SDC가 대대적인 주목을 받지 못하는 현 상황은 앞서 어느 정도 예견된 것이다.

일단 삼성전자가 명확한 설명 없이 공개한 티저 홍보사이트를 만든 것은 무리수였다. 개발자들이 행사를 통해 어떤 기술 정보를 얻을 수 있겠다는 연상작용을 유발하지 못했다는 점이 아쉬웠다. 그나마 개발자들이 기울일 수 있는 관심은 올 상반기 WWDC, 구글I/O, 빌드를 치르며 소진된 상태였다.

삼성전자 내의 다른 사업부들과도 일정 조율에 어려움이 있었던 듯하다. 10월 말 처음으로 열리는 행사를 알리기에는 9월초 예고된 IT모바일부문 그리고 가전부문의 전략 제품 출시와 경쟁사들과의 연례 홍보 경쟁이 너무 치열했다.

또 SDC 참가등록이 시작된 뒤에도 공개된 일정의 빈자리인 '추후안내(TBA)' 표시가 적지 않았다. 행사 자체도 내용 구성과 프로모션 단계에서 충분한 자원을 지원받지 못했다는 얘기다.

다만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전문가로 알려진 마크 머피(오픈소스컨설턴트, 커먼즈웨어 설립자), 웹기술 엔지니어 크리스천 헤일먼(모질라 수석 기술에반젤리스트), 커티스 사사키(삼성전자 클라우드서비스이노베이션랩 및 미디어솔루션 담당 선임부사장), 데이비드 은(삼성전자 오픈이노베이션센터 부사장), 이들 4명을 초청 연사로 제시하고 있는 점은 인상적이다.

삼성전자가 플랫폼 활성화라는 목표를 금방 달성킨 어렵다. 경쟁의 방식과 성과를 평가하는 기준까지, 기존 삼성전자가 추구해온 사업방향과 차이를 둘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우선 플랫폼 사업에 걸맞는 성과 지표를 갖추고 나아가 생태계 참여자들의 신뢰와 '설렘'을 이끌어내는 게 숙제다.

■삼성전자, 개발자들과 '밀당'하라

반도체와 전자제품 제조업계가 빠른 기술 개발과 시장 장악을 통해 주어진 목표를 따라잡는 달리기 경주라면, SW나 콘텐츠 생태계 육성은 그 참여자들의 관심을 놓치지 않기 위해 진득한 정성과 적절한 '밀당'을 요하는 연애에 가깝다.

애플, 구글, MS는 이미 수십년에서 수년 이상 그에 대한 노하우를 쌓아 온 회사들이다. 생태계 참여자들을 독려하고, 자극하고, 들뜨게 할 줄 안다. 자사 플랫폼에서 돌아가는 뭔가를 만드는 게 각자의 앞날에 이득이 되거나, 최소한 시간낭비는 아니란 믿음을 준다.

생태계를 꾸리려면 삼성전자도 개발자들을 상대로 이런 신뢰를 다져야 한다. 6천장 티켓을 몇분에서 몇시간만에 팔아치운 애플 WWDC, 구글I/O, MS 빌드와 삼성 SDC의 차이는 여기서 나온다. 삼성전자가 생태계 구축과 플랫폼 사업을 제대로 준비하겠다면 이번 행사의 성패를 변수삼지 말아야 한다.

즉 이달말 행사 직후 필요한 것은, 실제로 참여 열기가 어땠고 세간의 평가가 어떻게 나오든 참가자들에게 분명히 내년에 더 나은 내용과 일정으로 구성된 후속 컨퍼런스를 마련하겠다는 약속이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그 주관조직의 위상도 삼성전자 내부에서 한층 강화돼야 할 듯하다.

관련기사

SDC를 담당하는 조직은 미디어솔루션센터(MSC)다. MSC는 삼성전자 IT 및 모바일(IM)사업부문에 속하는 4개 사업부 가운데 하나다. 국내서는 주로 인텔과 손잡고 만드는 오픈소스 플랫폼 '타이젠' 담당 조직으로, 영미 유럽권 등 국외서는 콘텐츠 연계 사업을 맡는 조직으로 알려져 있다.

삼성전자 MSC 내부 사정에 정통한 소식통은 행사를 치를 예산은 지난해부터 계획돼 있었지만 정작 SDC를 준비한 기간은 2~3개월 수준으로 짧았다며 타사 연례 행사처럼 회사 이름을 걸고 마련해보자는 취지로 시작됐지만 그 체계는 다소 부족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